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진격의 '1000원 숍'…짠물소비·e커머스 타격에 '나 홀로 호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쇼핑 선회 타고 '가성비 균일가' 판매고

"매장 대형화로 출점 확대·가격 정책 동일하게 유지하며 대응"

뉴스1

(다이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명신 기자 = 고물가 부담에 이른바 '짠물소비' 트렌드가 확대되면서 '가성비 균일가 스토어' 아성다이소가 수혜를 입고 있다. 1000~2000원대 제품이 알뜰족들의 쇼핑처로 나 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이소는 판매 품목의 다양화와 기프트카드 등 전략 상품 확대, 전국 매장 대형화 등으로 하반기에도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9일 다이소에 따르면 올해 1~8월 다이소 전체 판매 비율에서 2000원 이하 상품이 약 80%를 자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0원 이하 상품 판매는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했다.

'K-뷰티' 효과와 알뜰 쇼핑지로 꼽히면서 외국인 관광객 매출도 크게 느는 추세다. 다이소 전체 매장을 기준으로 1~8월 해외카드 매출은 전년 대비 약 54% 신장했으며 결제 건수는 약 90% 뛰었다. 특히 다이소 명동점의 경우 지난해 3월 오픈 이후 외국인 관광객 수는 50% 이상 증가했다.

저렴한 균일가로 합리적인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알뜰족들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매출 3조 원을 돌파하며 몸집을 키운 다이소는 올해 최고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다이소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7.5% 증가한 3조 4604억 원이다. 영업이익은 2617억 3163만 원으로 9.4% 증가했다. 무엇보다 당기순이익은 26.9% 뛰었다.

다이소는 앞으로 균일가 상품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매장과 물류 시스템을 갖추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일환으로 전국 매장 출점 확대와 대형화에 초점을 맞춘다. 다이소의 매장 수는 지난해 기준 1519개로 올해도 추가 출점을 늘리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다이소 홈플러스 상봉점에 이어 8월 역대 최대 규모의 다이소 이마트 의왕점을 개점했다.

다이소 측은 "매장이 크면 상품을 좀 더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고, 여러 테마로 상품을 표현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많아 고객들이 선호하는 편"이라면서 "앞으로도 대형화 중심의 다양한 매장을 계속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스1

2024.9.6/뉴스1 ⓒ News1 김명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차별적인 혜택 제공도 주력한다. 대표적으로 기프트카드 도입 확대다. 지난해 말부터 전국 다이소 직영점에서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5000원권, 1만 원권, 3만 원권, 5만 원권 카드를 판매하고 있다. 3~5월 대비 6월~8월 판매 금액은 약 42% 성장을 했으며 9월에는 추석 특수를 맞아 올해 최대 판매를 예상한다. 기프트카드는 모바일상품권과 동일하게 전국 다이소 직영점과 다이소몰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온라인 서비스도 확대한다. 다이소몰에서 온라인 주문하고 가까운 다이소 매장에서 받을 수 있는 '픽업 서비스'를 선보인 가운데 주문 건수가 약 117% 늘었다. 매출도 약 126% 증가했다. 이에 기존 106개 점에서 신규로 270개 점 늘려 300여개 점에서 픽업서비스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다이소는 물류 확대를 위해 세종허브센터도 건립한다. 현재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 상태로, 세종허브센터는 경기 용인 남사허브센터, 부산 강서 부산허브센터에 이은 최대 물류시설이다. 4000억 원을 들여 2027년 1월 완공 예정이다. 세종허브센터 옆에는 다이소몰을 위한 온라인센터도 건립한다.

다이소 관계자는 "고객들이 매장에서 쇼핑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매장의 대형화' 콘셉트로 지속적인 출점을 진행할 계획"이라면서 "물류시설 확대로 균일가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대응할 예정이며 '균일가' 정책 역시 유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뉴스1

(세종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il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