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온실가스 배출량 6억2420만t…“2년 연속 감소세지만 속도 높여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인천 서구 정서진 아라타워에서 바라본 서인천복합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수증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6억2420만톤(t)으로 잠정 집계됐다.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10일 ‘2023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잠정치를 공개했다.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2420만톤으로 전년인 2022년(6억5289만톤)에 견줘 2859만톤가량 감소했다. 환경부는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2022년 이후 원전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이 본격적으로 효과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전환(전기·열 생산) 부문에서 배출량이 7.6%(1650만톤) 감소해 그 규모가 제일 컸다. 환경부는 “전환 부문에서 발전량이 전년 대비 1% 감소한 부분이 컸다”며 “이어 온실가스 배출을 하지 않는 무탄소 발전인 원전과 재생에너지가 증가하면서 배출량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다른 주요 부문에서도 배출량이 모두 감소했다. 산업 부문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공정가스저감시설의 확대와 석유화학 시멘트 등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의 경기둔화에 따른 생산 감소로 전년대비 배출량이 3% 감소했다. 건물 부문도 따뜻한 겨울과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 따라 사용량이 감소하면서 배출량이 전년에 비해 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송 부문도 주행거리 감소와 무공해차 보급 확대로 1% 줄었고, 농축수산 부문은 벼 재배면적의 감소 등의 영향에 따라 0.1%, 폐기물 부문은 매립량의 지속적인 감소로 1.3% 줄었다.



한겨레

최근 6년간 부문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및 GDP 당 배출량 추이. 환경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환경부는 정부 에너지정책의 변화와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한 덕분에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1.4%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배출량은 오히려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 당 배출량은 199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인 10억원당 313톤으로 나왔다. 반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국제에너지기구 등의 통계 정보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중국(4.7%)과 인도(7%) 등 개도국은 증가했고, 미국(4.1%), 유럽연합(9%), 독일(10.1%), 일본(2.5%) 등 선진국은 감소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와 함께 새로운 배출량 산정 기준을 적용한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확정치를 발표했다. 파리협정의 세부이행지침(2018)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모든 유엔 기후변화총회 당사국은 기존 1996 아이피시시(IPCC) 지침이 아닌 2006 IPCC 지침을 적용한 온실가스 통계를 올해 연말까지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환경부는 2006 아이피시시 지침을 적용해 상정한 2023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다. 다만, 이미 수립한 2030 목표치에 대해서는 변경된 기준치를 반영하지 않을 예정이다.



새 기준을 적용한 2021년 확정치 온실가스 배출량은 7억2140만톤으로 기존 확정치보다 4470만톤 늘어났다. 환경부는 신규 온실가스(삼불화질소(NF3))나 폐광 등 신규배출원이 추가되고 온실가스인 수소불화탄소(HFCs)가 기존 2종에서 29종으로 늘어나는 등 2006 IPCC 지침이 강화된 탓이라고 설명했다. 정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2021년 확정치를 보면) 에어컨이나 냉장고 등 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하는 제품에서 나오는 HFCs 온실가스가 2430만톤으로 제일 많이 올랐는데, 배출량 증가의 절반을 차지한다”며 “HFCs의 주 사용처인 냉매, 발포제, 소화약제 분야에서 지구온난화지수가 높은 물질 사용을 단계적으로 제한해 가겠다”고 설명했다. 지구온난화지수는 각 온실가스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이산화탄소를 기준으로 환산해 나타낸 지수다.



이어 정 센터장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는 긍정적이지만, 심화되고 있는 기후위기를 고려할 때 배출량을 더욱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감축의 속도가 다소 더딘 부문들에 대해서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hani.co.kr



▶‘딥페이크’와 ‘N번방’ 진화하는 사이버 지옥 [더 보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