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관련 애플·알리페이도 조사
월드코인·테무 조사 결과 조만간 발표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딥페이크 문제는 개인정보보호법 맥락에서 보면 개인의 존엄성을 근본적으로 건드리는 부분이라 고민할 부분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고 위원장은 "현행법으로 딥페이크 문제에 대응하면 실효성이 높지는 않다"며 "어떤 부분에서 법 개정이 필요한지 관련 부처와 태스크포스(TF)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페이의 개인정보 국외 유출 의혹과 관련해선 애플과 알리페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 회사 간 데이터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애플 본사와 애플코리아에 자료 제출을 요구한 상황이다.
카카오페이는 알리페이에 고객 개인신용정보를 넘기는 과정에서 별도 동의가 필요함에도 개인정보 처리 방침만 고지해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의 8 제1항 등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국외로 이전하려는 개인정보처리자는 정보 주체로부터 이와 관련한 별도 동의를 받아야 한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출입기자단 정례브리핑에서 인사말씀을 하고 있다. [사진=개인정보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 위원장은 "애플 앱스토어 생태계 안에서 결제 수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안에서 개인정보 흐름이 어떤지 살펴보고 있다"며 "개인정보 국외 이전 문제 등을 비롯해 법적 쟁점을 구체화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홍채 촬영 등 개인정보 수집으로 조사를 받은 월드코인 개발사 툴스포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TFH)에 대해선 조만간 제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월드코인의 민감 정보 수집·처리 과정이 적합했는지 여부와 개인정보를 국외로 이전하는 과정 등에 대해 살펴봤다. 조사를 마무리 짓고 조만간 관련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