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틴내일 '2023 상담통계 보고서' 보니
398명 중 19.8% 성착취물 피해 경험
강제추행·강간 넘어 최다 유형 올라
26.9%는 가해자 채팅앱 통해 만나
가해자는 10대가 19.6% 차지해 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성폭력 상담소를 찾은 아동·청소년 다섯명 중 한 명은 딥페이크를 비롯한 성착취물 피해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유형 중 피해 규모가 가장 커 기존에 1·2위를 차지했던 강제추행·강간을 제쳤다.
13일 탁틴내일 아동청소년성폭력상담소가 최근 발간한 ‘2023년 상담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상담소가 지원한 398명의 피해자들이 경험한 대표피해 유형 가운데 성착취물 피해가 79건(19.8%)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제추행 64건(16.1%), 강간 46건(11.6%), 의제추행·강간 37건(9.3%), 성희롱 32건(8.0%), 그루밍 20건(5.0%) 등 순이었다.
성착취물 피해는 대표피해는 물론 중복피해(여러 피해를 경험) 유형 중에서도 1순위를 차지했다. 69명의 중복피해자 중 성착취물 피해 경험자는 69명(17.3%)이었고 이어 그루밍 13건(18.8%), 강간 7건(10.2%), 성희롱 7건(10.2%), 강제추행 6건(8.7%) 등 순이었다. 불과 몇 년 전인 지난 2016~2020년 합산 성추행이 32.3%, 강간이 12.0%을 차지하고 사이버성폭력은 10.7%로 3위였던 것과는 대비되는 결과다.
실제 경찰은 올해 검거된 딥페이크 피의자 318명 중 10대가 251명(80%)이라고 밝혔다. 만 14세 미만의 촉법소년도 63명(19.8%)에 달한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디지털성범죄안심지원센터에 접수된 딥페이크 범죄 통계를 보면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10대 비중이 각각 36.6%, 31.4%였다.
정다은 기자 downrigh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