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8 (수)

의료대란 우려에 매서워진 추석 민심...尹 지지율 취임 후 최저로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윤석열 대통령이 4일 경기도 한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찾아 응급 의료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현 정부 출범 이래 역대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계속되는 여야 대치 속에서 응급 의료 공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데다 사태 수습 과정에서 보인 정부와 여당의 파열음이 지지율 회복에 제동을 건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갤럽이 지난 10∼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응답률 10.4%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한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율은 직전 조사보다 3%포인트(p) 떨어진 20%를 기록했다. 취임 후 최저치다. 지난 4월 총선 이후 5개월째 20% 횡보를 이어지던 지지선이 20%선까지 내려앉았다.

부정 평가는 3%p 오른 70%로 취임 후 최고치다.

앞서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2∼6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50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0%포인트. 응답률 2.7%,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도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29.9%로 집계됐다.

전 주대비 0.3%포인트(p) 상승했지만 2주 연속 20% 후반대의 지지율을 벗어나진 못했다. 앞서 이 기관 조사에서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3주 연속 내리막을 걸었다. 8월 둘째 주 33.6%였던 지지율이 30.7%(8월3주), 30.0%(8월4주), 29.6%(9월1주)까지 하락했다. 긍정 평가가 20%대로 떨어진 것은 약 2년 만이다. 취임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지지율이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의 하방압력은 의정 갈등 장기화와 의료 공백 우려 확산으로 생존권에 대한 국민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여야의 극한 대립과 윤 대통령의 국회 개원식 불참 등 정국이 불안한 데다 의료공백을 둘러싸고 여당과 야당, 여당과 정부의 불협화음이 이어진 게 지지율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번 한국갤럽 여론조사의 부정 평가 이유에선 '의대 정원 확대'(1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주(17%)보다 더 확대된 수치다. 의대 증원 문제는 2주 연속 부정 평가에서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어 '경제/민생/물가'(12%), '소통 미흡'(10%), '독단적/일방적'(8%), 전반적으로 잘못한다'(6%), '외교'(4%), '김건희 여사 문제', '통합·협치 부족'(이상 3%) 등이 뒤를 이었다.

의대 정원 확대는 올해 2월(5주차)과 3월(1주차) 윤 대통령의 지지율을 39%로 밀어올릴 만큼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악재로 바뀌었다. 국정 방향을 직접 설명하기 위해 마련한 국정브리핑과 기자회견,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 등도 지지율에 힘을 실어주진 못한 것으로 보인다.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는 ytn 방송에 출연해 "방향이 맞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방법론에 있어서 정부가 뭔가 해결책을 제시 못하니 대통령 지지율 하락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조사의 연령대별 직무수행 평가를 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40대(8%)의 경우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한 자리에 그치며 국정 운영을 냉랭하게 평가했다. 지역별로도 서울이 전주 대비 10%포인트 떨어진 21%, 대구·경북(TK)은 2%포인트 하락한 35%, 부산·울산·경남(PK) 4%포인트 내려간 22%였다.

여당 지지율마저 하락했다. 이번주 한국갤럽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전주 대비 1%포인트 오른 33%를 보인 반면 국민의힘은 3%포인트 떨어져 28%를 나타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래 최저치다.

[이투데이/김동효 기자 (sorahosi@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