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1 (화)

닻올린 이시바號 … 최대파벌 아베파 빠진 새 내각 출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시바 시게루 신임 일본 총리(가운데)가 1일 도쿄 총리관저에 들어가고 있다. 앞서 그는 중의원(하원)과 참의원(상원) 본회의에서 열린 총리 지명 선거에서 각각 과반 표를 얻어 무난하게 102대 총리로 공식 선출됐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약 3년간 일본을 이끌어온 기시다 후미오 내각에 이어 새로운 정권인 이시바 시게루 내각이 공식 출범했다. 일본 102대 총리로 선출된 이시바 총리는 새로운 내각 인사를 발표하며 일본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내각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1일 일본 중의원(하원)과 참의원(상원)은 임시국회를 열고 지명선거를 통해 이시바 자민당 총재를 총리로 선출했다. 자민당과 연립 여당인 공명당은 각각 중의원과 참의원에서 과반 의석을 차지하고 있어 선출 절차는 순조롭게 끝났다. 이시바 총리는 임시국회 직후 총리공관에서 19명의 내각 인사를 발표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 격인 관방장관에는 옛 기시다파이자 자민당 총재선거에도 출마했던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이 유임됐다.

한일 관계에 중요한 인물인 외무상에는 이시바 캠프 선거대책본부장이었던 이와야 다케시 전 방위상, 방위상에는 나카타니 겐 전 방위상이 각각 기용됐다. 이들은 '국방족'으로 불리며 역시 방위상을 지낸 이시바 총리의 측근으로 분류된다.

당내 온건파로 분류되는 이와야 외무상은 한일 관계가 악화일로에 있던 2019년 6월 한일 국방장관 회담에서 웃는 얼굴로 악수한 것이 일본 내에서 논란을 빚으며 결국 경질됐다. 하지만 그는 같은 해 9월 방위상 퇴임 전 "한일 양국이 외교적으로는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지만, 안보에서는 한일, 한·미·일 연대가 매우 중요하다"며 한국과 안보 협력 강화를 강조한 바 있다.

총무상에는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전 행정개혁상, 농림수산상에 오자토 야스히로 총리 보좌관, 디지털상에 다이라 마사아키 자민당 홍보본부장 대리, 경제재생상에 아카자와 료세이 재무성 부대신이 각각 임명됐다. 이들은 이시바 총리가 선거에 입후보했을 때 추천인 20명에 포함된 인물이다.

매일경제

무라카미 총무상은 2022년 아베 신조 전 총리 피살 후 국장 거행을 둘러싼 논란이 일자 "(아베는) 재정, 금융, 외교를 너덜너덜하게 만들었다"며 "국적(나라를 망친 역적)"이라고 비판해 당에서 1년 당직 정지 징계를 받은 바 있는 인물이다. 그만큼 옛 아베파로서는 용서하기 어려운 인물이 내각 주요 보직을 맡게 된 것이다.

재무상에는 대장성(현 재무성) 관료 출신으로 관방장관과 후생노동상 등을 지낸 가토 가쓰노부가 임명됐다. 공명당 몫으로 분류되는 국토교통상에는 현 사이토 데쓰오가 유임됐다.

신임 각료 중 여성은 아베 도시코 문부과학상과 미하라 준코 저출산(가족)정책상 등 2명이다. 기시다 내각 때는 5명이었는데 숫자가 줄어든 것이다. 이 밖에 후쿠오카 다카마로 후생노동상, 마키하라 히데키 법무상, 사카이 마나부 국가공안위원장, 아사오 게이이치로 환경상, 이토 다다히코 부흥상, 오자토 야스히로 농림수산상, 무토 요지 경제산업상, 이토 요시타카 오키나와·북방영토 담당상 등이 내각에 이름을 올렸다.

NHK는 과거 파벌 기준으로 무파벌이 10명으로 가장 많고 아소파, 옛 모테기파, 옛 니카이파가 각각 2명이라고 보도했다. 옛 기시다파, 옛 모리야마파, 공명당은 각각 1명이다. 기존 최대 파벌인 아베파 소속 의원은 없다. 2021년 기시다 내각 출범 당시 무파벌 각료는 3명이었다.

한편 이시바 내각 출범을 계기로 정권의 삼두체제가 기존 '기시다·아소·모테기'에서 '스가·모리야마·기시다'로 바뀌었다는 견해가 일본 집권 자민당 내에서 나온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닛케이는 당내 지지 기반이 약한 이시바 총리가 당 간부·각료 인사에서 자신을 지지해줬던 진영을 배려하고, 결선 투표에서 겨뤘던 극우 성향 다카이치 사나에 의원 측을 포섭하지 못하면서 이런 구도가 형성됐다고 짚었다. 이런 현상이 심화되면 정권이 '단명'으로 끝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도쿄 이승훈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