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통계로 보는 부동산] '대출규제 된서리' 맞은 노도강…서울 집값 격차만 커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 서울 평균 5분위 아파트 배율은 3.6배…집계 후 최대치

아주경제

서울 강남구에서 바라본 도심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의 상승세가 주춤한 가운데, 대출 규제 강화로 최근 서울 내 상급지 및 준상급지와 비인기 지역의 집값 격차가 더욱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급지 내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며 가격 강세를 이어간 반면, 그 외 지역은 각종 호재에도 대출 규제로 인해 수요가 막히며 약세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시장 혼조세 속에서도 자산 격차 확대로 인한 양극화 현상이 더욱 가팔라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올해 6월 12억4677만원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지난 9월 11억564만원을 기록하며 11.3% 가까이 떨어졌다. 대출 규제로 강남권 등 상급지와 목동 등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지만, 그 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 평균 가격도 3개월 새 1억4000여만원 하락한 것이다.

대출 규제로 대출 비중이 높았던 중저가 및 비인기 지역의 경우 아파트 가격 하락폭이 더욱 컸다. 노원구의 경우 8월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이 6억5978만원을 기록했지만, 대출 규제 시행 이후 호가와 실거래가 하락하면서 1개월 만에 평균 거래가격이 6억131만원으로 8.8%가량 빠졌다. 특히 강북구의 평균 아파트 매매 가격은 같은 기간 6억6627만원에서 5억8376만원으로 12% 넘게 하락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이들 지역의 전세와 매매 거래가 줄어들며 평균 가격도 내려앉은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 가시화와 노후 아파트에 대한 안전진단 절차를 생략한 ‘도시정비법 개정안’ 역시 추진에 속도가 나고 있지만, 수혜지인 동북권 일대 아파트 가격상승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 지역 부동산 업계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노원구 상계주공13단지의 경우, 전용 49.94㎡는 지난 8월 14일 4억2800만원에서 지난달 1일에는 4억200만원으로 약 2주 만에 2600만원이나 가격이 하락했다.

반면 서울 양천구 목동의 경우, 9월 초 대출 규제 강화 이후에도 평균 거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양천구의 지난달 아파트 매매 가격은 12억5392만원으로 전월 평균 가격인 11억7513만원보다 7% 가량 가격이 상승했다.

목동신시가지의 경우, 6단지의 첫 정비사업 구역 지정과 함께 올해 3월 단지 종상향의 전제조건이었던 기부채납 문제가 개방형 녹지 조성안 채택으로 해결되면서 사업성에 청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일부 단지의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5단지의 경우, 지난달 19일에는 전용 65㎡ 매물이 19억원에 거래돼 1개월 전보다 약 5000만원이 높은 가격에 신고가를 다시 썼다.

용산구 역시 지난달 40억원대 규모의 고가 아파트 거래가 이어지며 평균 아파트 가격도 지난 8월 20억3895만원에서 지난달에는 21억5893만원으로 5.8%가량 집값이 올랐다. 지난달 9일 이촌동 한강맨숀 전용 120.56㎡ 매물이 44억5000만원에 거래된 것을 필두로, 같은달 한남동 현대하이페리온 전용 197.2㎡ 물건은 42억5000만원, 서빙고동 신동아아파트 전용 166.9㎡도 38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가격 상승세를 견인했다.

대출 규제 강화 기조에 대출 비중이 높은 저가 지역 아파트의 거래가 줄면서 서울 아파트 가격 격차는 가장 크게 벌어졌다. 이날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당 평균 5분위 아파트 배율은 3.6배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1월 관련 집계를 시작 이후 최대치다. ‘㎡당 5분위 배율’은 주택가격 상위 20%의 ㎡당 평균 가격(5분위 가격)과 주택가격 하위 20%의 ㎡당 평균 가격(1분위 가격)을 나눈 것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지역적으로 서울 내 양극화가 유지돼 온 가운데, 단기적으로 대출 규제도 양극화에 영향을 미칠 요인임은 분명하다”며 “앞으로 당분간 양극화는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역 내 인프라 확충이나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우주성 기자 wjs89@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