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세

10·4 선언 기념식에 盧·文정부 출신 총출동···“尹, 남북평화 노력 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文 “노무현·문재인정부서

남북 충돌로 죽거나 다친

국민 단 한 명도 없어

대화 멈추면 北은 더욱

핵·미사일 고도화에 매달려”

문재인 전 대통령을 비롯한 야권 인사들은 4일 10·4 남북정상선언 17주년 기념식에서 윤석열정부가 역대 정부의 남북평화 노력을 부정하고 강경 일변도 정책으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부추기고 있다는 취지의 주장을 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경기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기념식 기조연설을 통해 ‘평화가 곧 경제’라고 주장하는 과정에서 “노무현정부와 문재인정부에선 남북 간 군사적 충돌로 죽거나 다친 국민이 한 명도 없었다”며 “지금 우리는 평화 대신 대결을 추구하는 정부가 또다시 국민소득을 후퇴시키는 현실을 목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문재인 전 대통령이 4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10.4 남북정상선언 17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기술 고도화 및 대남 쓰레기 풍선 도발, 우리 측의 대북 확성기 방송 등을 거론하며 “지금 남북은 군사적 충돌의 일보 직전까지 왔다. 실로 위험천만한 국면”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적대적 두 국가론’과 ‘자유의 북진’이라는 흡수통일론은 마치 마주 보고 달리는 열차와 같다”며 “남북이 다시 군사적으로 충돌한다면 우리 민족 모두에게 공멸의 길임을 직시해야 한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남북 경색 국면을 해소할 방법으로 대화를 꼽으며 “역사적 경험으로 확인됐듯이 대화를 멈추고 관계가 단절될 때 북한은 더욱 핵과 미사일을 고도화하는 데 매달렸다”고 했다. 그러면서 “언젠가 북·미 대화가 재개될 때 지금처럼 우리가 대화를 외면하고 대결 노선만 고집하다간 대화 국면에서 뒷전으로 밀려나 소외되고 또다시 한반도의 운명을 남에게 맡기는 처지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남북의 왕래가 끊긴 지는 오래고 대화는 단절됐으며 사람과 대화가 오가던 자리는 대북 확성기 방송과 쓰레기 풍선이 차지하고 있다”며 “모두에게 불행한 일”이라고 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정부와 북한 당국 모두에 더는 무모한 대결을 멈출 것을 촉구한다”며 “당장 마주 앉지 못하더라도 상황을 악화시키는 언사부터 멈추고 대화의 불씨를 살려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2년 5개월 차 윤석열 정권은 평화를 향한 역대 정부의 노력을 부정하고 있다”며 “흐릿해져 가던 금단의 선 위에 넘어갈 수 없는 대결의 장벽을 높이 세우고 있다”고 했다.

박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권이 외치는 강대강 외교정책의 결과는 NLL(북방한계선)과 DMZ(비무장지대) 인근에 울려 퍼지는 사격 소리와 확성기 소음, 수시로 날아오는 오물 풍선으로 귀결됐다”고 주장했다.

세계일보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4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10.4 남북정상선언 제17주년 기념식 및 2024년도 한반도 평화주간 폐막식'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육로 방북길인) 파주 도로는 파이고 방치됐다. 평화와 상생의 길은 가시밭길로 변해 우리 앞에 가로막혀있다. 평화의 안전핀이던 9·19 군사합의는 폐기됐다”며 “윤석열정부가 들어선 뒤 펼쳐진 일이다. 기가 막힌 일”이라고 했다. 조 대표는 “우리는 결코 평화를 향한 발걸음을 멈출 수 없다”며 “때로는 대립의 가시에 찔리고 다툼에 발목을 잡히더라도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부겸 전 총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지금 김대중·노무현·문재인정부에 걸친 평화의 노력이 윤석열정부의 대결정책으로 위기에 처했다”며 “우리는 정권교체를 통해 다시 한 번 평화와 번영의 길을 걸어야 한다”고 했다.

기념식에는 이들 외에도 노무현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와 한명숙 전 총리, 정세현·이종석·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송영무 전 국방부 장관 등이 자리했다.

배민영 기자 goodpoin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