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4 (월)

“곳곳에 빈집, 이 동네 심상치 않네”…미분양 가구 5년 새 13배 폭증한 이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공사현장 앞에 빨간등이 켜진 신호등이 시장 침체로 우려운을 겪고 있는 건설사들의 모습을 대변한 듯 하다.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광주 지역 미분양 가구가 5년 전보다 13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자재비 상승, 고물가, 고유가 등의 경제적 요인과 맞물린 여파로 풀이된다.

14일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받은 분양보증사업장 미분양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2월 말보다 올해 7월 광주 미분양 가구수가 1321% 증가했다.

광주 지역 미분양 수는 2019년 499가구에서 2020년 126가구로 줄어들었다가 집값이 뛰기 시작한 2021년부터 197가구, 2022년 760가구, 2023년 1561가구, 2024년 7월 7091가구로 빠르게 증가했다.

정 의원은 “미분양 세대가 늘어나면서 건설업계의 자금난이 더욱 악화해 대규모 분양사고 발생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며 “정부와 국토부는 중소건설사 보호 방안과 미분양 방지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 미분양 문제를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광주 지역을 비롯해 지방의 중견·중소 건설사들의 줄도산도 이어지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은 도시정비사업과 해외사업 등으로 침체기에도 버티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기초체력이 부족한 지방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갈수록 커지면서 위기감이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미분양과 신규 인·허가 착공 건수 등 객관적 지표 모두 좋지 않은 상황이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7월 주택 통계’ 자료를 보면 7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1822가구로, 전월(7만4037가구) 대비 2215가구(3%) 감소했다.

다만 준공 후 미분양은 1만6038가구로, 전월(1만4856가구) 대비 1182호(8%) 증가했다. 전체 미분양 물량 중 80.2%(5만7833가구)가 지방에 집중돼 있다. 수도권은 1만3989가구로, 전월(1만5051가구) 대비 1062가구(7.1%) 감소했다.

게다가 철도나 도로, 항만 건설 등 사회간접자본(SOC)와 관련된 내년도 예산안이 1조원 이상 줄면서 지방 중견·중소건설사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예산안은 올해보다 2조7000억원 감액된 58조2000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특히 SOC 사업 예산은 1조2000억원(5.8%)이나 줄어든 19조6000억원으로 줄었다. 이는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올해 부도난 건설업체 수가 22곳으로, 이는 2020년 이후 최다 수준이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9월(7일 기준) 누적 기준 부도난 건설업체(금융결제원이 공시하는 당좌거래 정지 건설업체로 당좌거래정지 당시 폐업 또는 등록 말소된 업체 제외)는 모두 22곳이다. 동기 기준(1~9월) 지난 2019년(42곳) 이후 가장 많은 수치이자, 지난해 전체 부도 업체(21곳) 수를 넘어선 것이다.

면허별로 부도 업체는 종합 7곳, 전문 15곳이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5곳으로 가장 많고, 경기 ·광주·전남·경북·경남 각 2곳, 서울·울산·강원·충남·전북·제주 각 1곳 순으로 집계됐다. 건설사 폐업도 증가했다. 올해 1~7월 누적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는 295건으로, 전년 동기(218건) 대비 35.32% 늘었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사 폐업 신고는 1158건으로, 1270건 늘었다.

전문가들은 지방의 중소건설업계가 유동성 부족으로 도산 위험을 겪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규제 완화로 수도권 분양시장 일부가 살아났지만, 지방은 미분양 물량이 쌓여있고, 여전히 침체된 상황”이라며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지방 중소건설업계의 자금경색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의 미분양 물량이 시장에 흡수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적 지원과 공공공사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