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7 (목)

『대도시의 사랑법』 박상영, "영화가 재희 목소리 살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상영(36)은 한국 문학의 비주류였던 퀴어 문학을 베스트셀러로 만든 작가다. 2019년 세상에 나온 연작 소설 『대도시의 사랑법』(창비)이 그 주인공. ‘재희’, ‘우럭 한점 우주의 맛’, ‘대도시의 사랑법’, ‘늦은 우기의 바캉스’ 등 네 편의 단편으로 이뤄진 원작은 2022년 영국의 권위 있는 문학상 부커상 롱리스트(1차 후보)에 오르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당시 박상영은 34세, 등단 6년차였다.

이 작품은 퀴어 소설로는 이례적으로 10만부가 넘게 팔렸고 부커상 후보에 오른 이듬해 국제 더블린 문학상 후보에도 올랐다. 국내에서는 젊은작가상대상과 신동엽문학상을 받았다.

중앙일보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은 자유로운 영혼의 유학파 재희(김고은)와 소설가 지망생 흥수(노상현)의 우정 이야기다. 박상영 작가의 동명 소설집 속 단편 '재희'를 토대로 이언희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사진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달 ‘대도시의 사랑법’을 영화와 드라마로 만날 수 있다. 1일 개봉한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은 원작 중 ‘재희’만을 118분 영상에 담았다. 자유로운 영혼의 재희(김고은)는 과 동기 흥수(노상현)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되고 비밀을 지켜주며 그와 친구가 된다. 오는 21일 공개되는 동명 드라마(티빙)는 박상영 작가가 직접 극본을 썼고 원작 단편 네 편이 전부 담겼다. 지난 11일 전화로 그와 대화를 나눴다. 다음은 일문일답.

Q : 원작자의 영화 감상 평을 듣고 싶습니다.

A : 너무 좋았어요. 소설은 화자의 목소리에 기대잖아요. 화자는 영이고요. 그래서 재희에겐 가려진 부분이 있었는데 영화가 그걸 충실하게 복원했구나 생각했습니다. 원작의 캐릭터를 더 살려주셨다고 할까요. 소설에 없던 에피소드를 볼 때 '내가 썼더라도 재희는 이런 상황에서는 이렇게 행동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으니까요.

Q :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에서 재희를 연기한 배우 김고은은 이 영화를 두고 "다름에 대한 존중을 이야기하는 영화"라고 설명했습니다.

A : 저도 같은 마음이에요. 고은씨가 작품을 정말 깊게 생각하신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 자연스러운 연기가 가능했던 것 아닐까요.

중앙일보

배우 김고은은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에서 주인공 재희를 연기한다. 재희는 과동기 흥수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의 비밀을 지켜주며 절친한 친구가 된다. 사진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소설과 영화가 다른 부분도 있죠. 그중 어떤 장면이 가장 좋았나요.

A : 임신 중절 수술을 하러 산부인과에 간 재희가 진료실의 자궁 모형을 들고 뛰쳐나와 자신의 책상에 장식물로 꽂아두는 장면이요. 소설에서는 훔쳤다가 바로 돌려주잖아요. 근데 영화에서는 그걸 집으로 가져와 책상 위에 두고두고 봐요. 또 결정적인 순간에 반격의 도구로도 활용합니다. 이런 오브제가 재희의 서사를 강화하는 장치로 쓰였다는 게 마음에 들었어요.

Q : 원작 '재희'의 매력은 캐릭터의 생생함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설을 읽을 때 '진짜 재희'가 이걸 읽어도 괜찮나 생각이 들 정도였어요. 영화에도 그런 생생함이 잘 담겼고요.

A : 맞아요. 그래서 그런 질문을 정말 많이 받았어요. 재희가 누구냐, 재희에게 허락은 받고 쓴 거냐…(웃음) 대학 시절 학교 앞에서 자취하던 여자 친구들과 친하게 지냈는데 그들이 모티브가 되어 주었죠. 소설을 쓰면서는 우리 그때 뭐 재밌는 일 없었냐고 많이 물어보기도 했고요. 그들의 20대가 섞여서 재희가 태어났어요. 물론 각색을 많이 했습니다. 당연히 허락도 받았죠.

Q : 소설 속 화자 '영'은 '박상영'을 상상하게 합니다. 영이 불문과를 나왔다는 점도 그렇고요. (박상영 작가는 대학에서 불문학을 전공했다.)

A : 일부러 그렇게 썼어요. 독자가 소설을 읽으며 남의 일기장을 들여다보는 느낌을 받길 원했습니다. 그렇게 해야 몰입이 잘 될 것 같아서요.

Q : 영화에 깜짝 등장도 하시잖아요. (영화에는 흥수가 박상영 작가의 수상 기사를 읽는 장면이 있다)

A : 어쩐지 감독님이 사진을 달라고 하시더라고요. 제가 넣어 달라고 한 건 아닙니다. 그렇게 이상한 사람 아니에요. (웃음)

Q : 극본 작업 이야기를 해볼게요. 속마음을 다 전달할 수 있는 소설을 쓰다가 대사와 지문의 세계로 넘어갔습니다. 어떤 어려움이 있었나요.

A : 문자 매체는 속마음을 쓰면 끝나는 거지만 영상 매체는 감정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없고 다 보여줘야 하잖아요. 또 소설은 제가 처음부터 끝까지 전지전능하게 컨트롤할 수 있지만, 드라마는 제작진이 있고, 영상으로 표현하는 데 고려해야 하는 현실적인 사정도 있고요. 너무 다른 작업이더라고요. 그런 것을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중앙일보

소설 『 대도시의 사랑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이 대목은 '절대로 양보할 수 없다'라거나 '이 문장은 무조건 살려야 한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나요.

A : 목소리를 내긴 했지만 토씨 하나 바꾸지 말라는 식은 아니었어요. 그보다는 재현 방식이나 이게 영상적으로 재미가 있냐 없냐를 따졌다고 하는 편이 맞겠네요.

중앙일보

소설가 박상영. 사진 블러썸크리에이티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드라마 작업만의 재미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A : 소설과 비교했을 때 드라마는 더 노골적으로 '재미'를 추구하는 작업이에요. 소설과는 다른 종류의 즐거움이죠. 그게 싫지 않았고 배우는 재미도 있었어요.

Q : 극본 작업을 제안 받았을 때 고민도 있었을텐데요.

A : 제가 2016년 문학동네 신인상을 받으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는데요. 같은 시기에 한국콘텐츠진흥원 웹드라마 공모전에서도 당선이 됐어요. 그래서 주저함은 없었던 것 같아요. 기회가 닿으면 작품의 폭을 넓혀가고 싶다는 생각도 있었고요.

Q : 소설가라는 정체성에는 변함이 없나요.

A : 네 지금도 극본을 쓰고 있지만 전 여전히 소설가예요. 소설을 쓸 때 가장 자유롭거든요.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