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7 (월)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EU '관세폭탄' 보복 나선 中 "수입 대형차 관세 인상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핵심요약
中 상무부 발표…EU, 특히 독일 자동차 업계 겨냥한 조치
中-EU간 협상에 관세폭탄 '반대' 독일 지렛대 활용 포석
관세 '찬성' 프랑스 겨냥해서는 EU산 브랜디 반덤핑 조치
노컷뉴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이 조만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최대 45.3%의 고율관세 부과에 돌입할 예정인 가운데 중국도 수입 고배기량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해 관세 인상을 검토하기로 하며 보복을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수입 고배기량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에 대해 "모든 요소를 고려한 뒤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무부는 8일에도 "중국은 수입 고배기량 내연기관차 관세 인상 등 조치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8월말에는 관련 관세 인상을 위한 중국 업계 측의 의견을 청취한 바 있다.

고배기량 내연기관차는 가솔린과 디젤 등을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엔진 배기량 2500cc 이상의 자동차로 중국은 지난 5월부터 해당 수입차에 대한 관세 인상 여론을 조성해왔다.

중국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으로 수입된 고배기량 내연기관차는 25만대이며 이는 전체 수입차의 32%를 차지한다. 또, 중국 관련 시장의 80%를 수입차들이 장악하고 있다.

이런 조치는 주로 EU, 특히 독일 자동차 업계를 겨냥한 것이다. 무역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판매량의 거의 1/3분이 중국에서 나왔다.

이 때문에 EU가 지난 4일 27개 회원국 투표를 통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최대 45.3%의 고율 관세 부과 조치를 통과시키자 독일 정부와 자동차 업계가 강하게 반발했다.

따라서 현재 벌이고 있는 중국과 EU간 추가 협상에서 독일의 반발을 지렛대로 활용하기 위해 수입 고배기량 내연기관차에 대한 관세인상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양측은 EU에서 판매되는 중국산 전기차의 최저 판매 가격을 정하는 방안을 놓고 협상을 벌이고 있다. 협상이 타결되면 고율관세 부과는 취소된다.

이와 관련해 크리스티안 린드너 독일 재무장관은 "유럽연합은 징벌적 관세에 대한 표결 결과에도 불구하고 무역전쟁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면서 "협상을 통한 해결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노컷뉴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은 독일을 겨냥한 이번 조치 외에도 고율관세 부과에 찬성하고 있는 프랑스를 겨냥해 EU산 수입 브랜디에 대한 임시 반덤핑 조치를 지난 1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상무부는 고율관세 부과 EU 회원국 투표를 앞둔 8월말에는 EU산 브랜디의 덤핑 사실을 확인했다면서도 반덤핑 조치를 취하지 않기로 했지만 투표 결과가 나오자 결정을 뒤집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