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9 (토)

北 러시아 파병 증거 꺼낸 국정원, 심각한 안보상황 알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정원, 북한 우크라전 참전 증거 자세히 공개
"北 특수부대 1500명 1차 파병 개시"
북한군 추정 인물사진, 러시아 군함 활동 이미지 등 제시
"북한군에 시베리아 지역 주민 위조 신분증 발급"
윤 대통령도 긴급 안보회의로 北 파병 공식 확인
글로벌 안보상황 위중 강조, 국제공조 탄력 받나


파이낸셜뉴스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촬영된 북한군인 추정 인물. 지난해 8월 김정은을 수행한 북한 미사일 기술자로 확인/ 사진=국가정보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국가정보원은 18일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증거를 이례적으로 자세하게 공개했다.

청진항 부근에서 촬영된 러시아 군함 활동 이미지를 비롯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전선에서 활동하는 북한군 인물 사진 외에도 북한군에 대한 시베리아 지역 주민 위조 신분증 발급 등 구체적인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증거를 제시한 것이다.

정보당국이 부작용을 무릅쓰고 이같은 정보자료를 자세히 공개한 것은 북한의 대규모 파병을 국제사회에 확실하게 알려 글로벌 안보 상황이 위중해지고 있음을 알리는 동시에 러·북에 대응할 국제공조를 촉구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정원 발표에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북한 전투병의 러시아 파병에 따른 긴급 안보회의'를 주재해 북한의 참전을 공식 확인하면서 대응책을 논의, 국제사회와 공동으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지난 8일부터 러시아 파병을 위한 특수부대 병력 이동을 시작, 지난 13일까지 북한 특수부대 1500여명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1차 이송됐다고 밝혔다.

조만간 2차 수송 작전 등으로 1만여명의 북한 특수부대 병력이 러시아로 이동해 총 1만2000여명의 병력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할 예정이다.

국정원은 북한의 참전 확인 근거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선에서 활동 중인 북한군 추정 인물 사진을 제시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정보기관과 협력해 확보한 사진으로, 도네츠크 지역 인근에 있는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 'KN-23' 발사장에서 러시아 군인과 함께 앉아 있는 러시아군 복장의 동양인 사진이다.

국정원이 인공지능(AI) 안면인식기술을 적용한 해당 군인 신원을 추적한 결과, 지난해 8월 2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술미사일 생산공장 방문을 수행한 북한군 미사일 기술자로 파악됐다.

AI 안면인식기술로 전장의 인물과 국정원의 북한 인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대조 분석한 결과, 두 인물의 유사도는 80% 이상으로 나타나 사실상 동일 인물이라는게 국정원 설명이다.

국정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에 투입된 북한군 미사일 기술자들은 북한제 미사일 발사를 지원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기술적 문제점을 확인하는 한편 추가 기술 확보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지난 8월 초 북한 미사일 개발의 핵심인 김정식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이 수십 명의 북한군 장교와 함께 수차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 인근 북한 'KN-23 미사일' 발사장을 방문해 현지 지도하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파이낸셜뉴스

연해주 우수리스크 소재 군사시설(연병장 내 북측 인원 추정 400여명 운집, 10월16일) /사진=국가정보원 북한 병력 수송 목적 러시아 함정 활동(10월12알) /사진=국가정보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같은 사진 외에도 국정원은 지난 12일 북한 병력 수송을 위해 러시아 함정들이 청진항에서 활동하는 이미지를 공개한데 이어,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스크·하바롭스크 소재 군사시설에 운집한 수백여명의 북한군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특히 국정원은 북한군이 러시아 군복과 러시아제 무기를 지급 받았고, 북한인과 유사한 용모의 시베리아 야쿠티야·부라티야 지역 주민 위조 신분증도 발급받았다는 사실도 전했다.

국정원은 이러한 조치에 대해 "(북한군이) 전장 투입 사실을 숨기기 위해 러시아군으로 위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이 정보 입수 경로나 분석 노하우가 노출될 수 있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같이 구체적으로 북한군의 참전 증거를 공개한 것은 북한의 사상 첫 대규모 파병이 심각한 사안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북한에서 최정예부대로 알려진 '폭풍군단'의 최대 30% 수준이 파병돼 우크라이나 전쟁에 미칠 영향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우리 정부의 대응 외에도 국제사회와의 공조도 시급해진 상황이다.

국정원 관계자는 "그간 해외 언론들이 제기한 '러·북 직접적 군사협력' 의혹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며 "우방국과의 긴밀한 정보협력을 통해 러·북 군사협력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추적해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러·북 군사협력이 그동안 후방지원이었다면 이제는 참전으로 얘기가 완전히 달라졌다"면서 "러·우 전쟁이 불법이고 북한의 러시아 지원도 불법이니 국제사회 공조가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 정부도 안보시스템 차원에서 대비에 나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정원의 이같은 공개에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NATO) 사무총장은 "현재로선 북한 주민들이 전쟁에 참여하는 군인으로 활동 중이란 보고를 확인할 수 없다는 게 우리의 공식 입장이지만 이는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의 발표로 신중론에서 진전된 입장을 보인 것으로, 뤼터 사무총장은 "분명히 우려스러운 사실"이라면서 러·북 군사 협력 강화에 대해 "강력히 비난한다"고 강조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