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2 (화)

[단독] ‘코로나 입직’ 저연차 공무원 3만 3000명 “공직 그만두고 싶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봉에 악성민원까지… 68% ‘이직 생각’
낮은 보상 35%… 부당 대우·업무 과다 순
돈 말고 다른 이직 사유가 65% 차지
비체계적인 인수인계·형식 치중 보고
변화에 소극적인 조직 문화도 꼽아
작년 1만 3823명 퇴직, 4년 만에 2배
이직률 높인 ‘약한 고리’ 대책 마련 시급


서울신문

직장 스트레스 - 서울신문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한창일 때 입직한 재직 5년 이하 공무원 10명 중 7명은 ‘공직 탈출’을 고민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실제로 공직을 박차고 나간 5년 이하 국가·지방직 공무원은 1만 3823명으로 전체 퇴직자의 24.2%를 차지했다. 이들 저연차 공무원들은 낮은 급여는 물론 악성 민원인과 과도한 업무, 조직문화에 대한 불만 등을 ‘헤어질 고민’을 한 이유로 꼽았다.

21일 행정안전부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저연차 공무원 대상 공직사회 조직문화 인식 조사’(6월 10~17일)에 따르면 응답자 4만 8248명 중 68.2%(3만 2905명)가 ‘공직을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고 했다. 특히 1만 1517명(23.9%)은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18.0%에 그쳤다.

공직을 그만두고 싶은 이유(복수 응답)로는 ‘낮은 금전적 보상’이 35.5%로 가장 많았고 ‘악성 민원 등 사회적 부당대우’ 18.9%, ‘과다한 업무량’ 13.1%, ‘조직문화에 대한 불만족’ 9.3%, ‘낮은 업무 효능감·성취감’ 8.5% 순으로 나타났다.

업무량·난이도에 대해서는 48.6%가 ‘불만족’이라고 답했다. 이유로는 ‘체계적이지 않은 업무 인수인계’(25.4%)가 첫손에 꼽혔다. ‘악성민원 등 감당하기 어려운 업무’(22.7%), ‘불공정한 업무 분장과 업무 떠넘기기·과도한 업무 할당’(21.7%), ‘복잡한 업무처리 절차’(12.9%), ‘비합리적 업무 마감 기한’(7.3%), ‘상급자의 부당한 지시’(6.5%)도 언급됐다.

서울신문

9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팬데믹 당시 ‘나 홀로’ 근무하면서 소통 단절로 인한 업무 인수인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급증하는 악성 민원과 감당이 안 되는 업무량 속에 저연차 공무원들이 공직을 떠났던 배경이 읽혀지는 대목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급여 외에도 이직률을 높였던 약한 고리를 제대로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공직사회의 업무 방식에 대해서는 45.6%가 불만족스럽다고 답했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14.4%에 그쳤다. 불만족한 이유로는 ‘내용보다 형식 치중, 불필요한 보고용 문서 생산 등 보고방식’(39.9%), ‘하급자의 의견 개진의 어려움, 상급자의 일방적 의사결정 등 의사결정방식’(22.6%), ‘과도한 회의자료 작성 등 회의방식’(17.7%) 등이 거론됐다.

공직사회 조직문화에 대해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39.5%로 ‘만족한다’(18.8%)의 두 배 이상이었다. ‘관행 중시·변화에 소극적 분위기’(30.4%), ‘조직을 위해 개인 희생 강요’(28.6%), ‘상명하복을 중시하는 권위적 태도’(19.4%), ‘갑질·따돌림 등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언행’(8.7%) 등의 답이 많았다.

공무원연금공단이 한병도 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재직 5년 미만 공무원 중 퇴직자는 1만 3823명이었다. 2019년(6663명)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규모여서 MZ들의 공직 엑소더스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신문

“제벌 없애달라” 후배 사비 털어 간부 밥 사주는 ‘모시는 날’ 행안부 전수조사 추진 - 행정안전부는 20일 하위직 공무원들이 사비를 털어 국·과장 등 간부들의 식사를 대접하는 ‘모시는 날’에 대해 다음달 47개 중앙행정기관, 243개 지방자치단체 전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모시는 날이란 7~9급 하위직 공무원들이 상사 식사 비용을 지불하는 ‘악습’으로 중앙정부에선 거의 사라졌지만 지자체에는 만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무 스트레스 자료사진. 123RF


세종 강주리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