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1 (수)

이슈 윤석열 정부 출범

여권 갈등 더 키운 윤석열-한동훈 만남[AK라디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뚜렷한 성과 없이 끝나며 여권 내 후폭풍

김건희 여사 관련 인식차 드러내며 갈등 심화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1일 만났으나, 양측의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뚜렷한 성과 없이 끝났다. 특히 김건희 여사 관련 쟁점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크게 드러나면서, 오히려 여권 내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면담에는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이 배석했다. 회동 전 윤 대통령과 한 대표는 용산 어린이정원 앞에서 10분간 산책하며 대화를 나눴다. 대통령실은 한 대표의 선호도를 고려해 제로콜라를 준비하는 등 배려를 하기도 했다.

한 대표가 제기한 주요 요구사항은 ▲이른바 '한남동 라인' 인적 쇄신 ▲김건희 여사 활동 자제 ▲각종 의혹 해소였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인사권자는 대통령"이라며 선을 그었다. '한남동 라인'에 대해서는 "실체가 있다면 구체적 정황을 제시하라"고 반박했으며, "대통령실에는 대통령실 라인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한 대표가 8명의 교체 대상 전·현직 대통령실 참모들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거론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건희 여사의 활동과 관련해 윤 대통령은 "이미 공식활동을 자제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은 "필수적인 영부인 의전 활동 외에는 자제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종 의혹에 대해서는 "수사를 통해 밝힐 것은 밝히되, 구체적 정황 없이 의혹 제기만 하는 것은 문제"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는 '의혹 제기'와 '실체적 진실' 사이에서 양측의 시각차가 여실히 드러난 대목으로 평가된다.

한 대표는 예정됐던 브리핑을 취소하고 곧바로 귀가했다. 대신 박정하 당대표 비서실장이 전화 브리핑을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도 양측의 소통 불일치가 드러났다. 대통령실은 한 대표가 먼저 입장을 밝히고 이에 화답하는 구조를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논란을 가중시킨 것은 한 대표와의 회동 직후 이뤄진 윤 대통령과 추경호 원내대표 등과의 만찬이었다. 추 원내대표 측에서는 "여의도에서 저녁을 먼저 먹고 대통령의 요청으로 참석한 것"이라며 "통상적인 의원들과의 만남"이라고 해명했으나, 타이밍상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임기 반환점을 앞둔 시점에서 지지율 하락과 각종 의혹이 겹치면서 위기감이 고조된 상태다. 이에 따라 11월 초 제2부속실 설치를 공식화하고, 특별감찰관 임명도 여야 합의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윤 대통령은 회동에서 "당이 함께 싸워주길 바란다"며 여당의 지지를 요청했다. 현재의 상황이 "어처구니없는 의혹이나 과도한 정치적 계산"에 따른 것이라는 인식 하에, 당의 전폭적인 지지를 기대한 것으로 해석된다.

향후 정국의 최대 변수로 떠오른 것은 김건희 특검법 재의결 가능성이다. 지난 표결에서 여당 의원들의 일부 이탈이 있었던 만큼, 대통령실에서도 최악의 상황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내부에서는 이번 회동 이후 오히려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각자의 정치적 판단과 해법을 고수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22일 부산 범어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힘든 상황이 있지만 업보로 생각한다. 돌을 던져도 맞고 가겠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국민만 보고 가겠다"고 말했다. 접점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현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당과 대통령실이 머리를 맞대고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면서도 "김건희 여사 관련 사안에 대해서는 양측의 입장차가 커 해결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권의 핵심 두 축인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오히려 입장 차이만 확인한 만큼, 향후 이 간극을 어떻게 좁혀나갈지가 여권의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임기 반환점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갈등 구도가 지속될 경우, 국정운영에도 상당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국 불확실성이 더 커졌다.

소종섭·서소정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