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발사 '61기지' 방문 추정…"대만군 아닌 미군 표적 삼을 것"
중국 안후이성 로켓군 부대 시찰 중인 시진핑 국가주석 |
무력 통일도 불사하겠다고 강조해온 시 주석이 대만해협에 위기 상황이 생기면 로켓군으로 미군 진입을 막고 대만을 점령하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이다.
시 주석은 2016년 1월 1일 기존 7대군구(大軍區)의 인민해방군 체제를 5개 전구(戰區)로 개편하면서 로켓군을 창설했으며, 이후 로켓군 전력 강화에 박차를 가해왔다.
로켓군은 과거 '제2포병'이 운용해왔던 걸 재편한 것으로, 핵미사일 운용 부대뿐 아니라 전략핵잠수함, 전략폭격기 부대, 우주방어부대 등을 통합한 것이다.
그는 "로켓군이 미국 등 외부 세력이 대만과 관련된 중국의 내정에 개입하는 걸 억제할 것"이라는 평가를 덧붙였다.
홍콩 군사전문가인 량궈량은 "시 주석이 로켓군 기지 방문 당시 로켓 발사 준비 훈련을 지켜보는 모습이 공개됐다"면서 "해당 미사일은 '둥펑(DF)-26'"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시 주석이 방문한 부대는 인민해방군 6개 미사일 발사 기지 중 한 곳인 61기지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앞서 싱가포르 매체인 연합조보는 중국중앙TV(CCTV) 뉴스 영상을 바탕으로 시 주석의 로켓군 시찰 당시 총 25대의 DF-26 이동식미사일발사대(TEL)가 식별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모든 TEL에 미사일 운반 차량 두 대씩이 배정됐고 TEL 장착분까지 합치면 TEL 한 대당 모두 3기의 DF-26 미사일이 준비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쑹중핑 군사평론가는 "이 미사일이 대만군에게 사용될 가능성은 적고 미군을 표적으로 삼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DF-21D은 주로 군함 공격에 사용되며 '항공모함 킬러'라는 별명이 붙은 초기형 중거리 탄도미사일이다.
그는 "시 주석이 대만해협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로켓군을 방문한 건 중국의 군사적 준비 태세를 보여주려는 의도"라고 덧붙였다.
중국 CCTV에 보도된 안후이성 로켓군 여단 |
중국이 태평양으로 ICBM을 시험 발사한 것은 1980년 DF-5 이후 44년 만에 처음일 정도로 이례적이다.
이어 중국은 지난 14일 중국이 라이칭더 대만 총통의 건국기념일(쌍십절·10월 10일) 연설에서 나온 '양국론'을 문제 삼아 사실상 중국 침공을 염두에 둔 대만 포위훈련을 13시간 동안 벌여 대만을 압박했다.
이에 엿새 후인 20일 미국·캐나다가 군함 2척의 대만해협 통과로 대응 의지를 보이자, 중국은 22일 대만해협에서 실사격훈련으로 맞받아치는 등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이다.
kjih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