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30 (수)

한국 30대 절반 이상 미혼... 서울은 '3명 중 2명' 전국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미혼율 62.8%… 세종 34.4% '두 배'
노년부양비 27.3명… 유소년부양비는↓
"인구변화 정해진 미래, 현실적 대응해야"
한국일보

혼인상태별 인구 비중(왼쪽)과 시도별·성별 30대 미혼율. 통계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혼인과 출산을 주도하는 30대가 절반 넘게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에 사는 30대는 3명 중 2명꼴로 전국에서 미혼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생산연령인구에 비해 부양해야 할 노인 수는 갈수록 늘어가는 추세라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대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확대 공표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지난해 11월 기준 18세 이상 내국인 4,294만1,000명 중 29.5%(1,267만5,000명)가 미혼 인구였다. 미혼율은 남자(34.2%)가 여자(24.9%)보다 9.3%포인트 높았다.

결혼, 출산을 가장 많이 하는 연령대인 30대 미혼율은 51.3%였다. 인구가 밀집한 서울이 62.8%로 30대 미혼율이 가장 높았고, 정부청사와 공공기관이 모여 있어 공무원 비중이 높은 세종은 34.4%로 최저였다. 40대는 5명 중 1명(20%)이 미혼 상태였다.

혼인인구 감소와 함께 저출생 심화가 우려되는 상황에 부양해야 할 노인은 늘어나고 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하는 고령인구인 노년부양비는 지난해 27.3명으로 2015년(18.1명)보다 9.2명 높아졌다.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에서 예측한 25.8명보다 가파르게 증가하는 모습이다.
한국일보

2015~2023년 유소년·노년부양비(왼쪽)와 평균·중위연령 추이. 통계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생산인구 100명당 유소년부양비는 같은 기간 19.1명에서 15.9명으로 3.2명 줄어들었다. 노년부양비는 2016년 처음 유소년부양비를 넘어섰는데, 지속적으로 유소년부양비는 줄고 노년부양비는 늘어왔다. 고령인구가 많아지니 중위연령도 41.2세에서 46.2세로 뛰었다.

조영태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장은 "인구구조 변화는 이미 정해진 미래로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고령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 수립한 정책은 향후 제대로 작동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신속히 사회변화 대응 방안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장애인 인구는 258만6,000명으로 전체의 5.2%를, 장애인 가구는 227만3,000가구로 10.3%를 차지했다. 다문화 가구는 38만9,000가구였다. 다문화 가구 비율이 10% 이상인 읍·면·동은 경기 안산시 원곡동(39.2%), 서울 영등포구 대림2동(17.4%)과 구로구 구로2동(13.9%) 등 8개였다.

통계청은 이달부터 인구위기 대응 차원에서 이와 같이 인구주택총조사 전수부문 결과를 재편해 새롭게 제공할 방침이다. 인구주택총조사 확대 공표엔 △시·도별 혼인상태별 인구·가구 △시·군·구별 유소년부양비·노년부양비·노령화지수 △장애인 인구·가구 △다문화가구 등이 포함된다.


세종= 이유지 기자 maintai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