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집행위원회는 30일(현지시간) 0시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최고 45.3%의 관세를 부과한다. 앞서 EU 집행위원회는 회원국 투표에 따라 중국산 전기차에 최고 45.3%의 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일반관세 10%를 포함한 최종 관세는 상하이자동차 45.3%, 지리자동차 28.8%, BYD 27% 등이다.
![]() |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 최고 45.3% 확정한 유럽연합.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상계관세란 수출국에서 장려금·보조금을 지급 받아 생산된 물품이 수입국의 산업을 저해할 때 수입 억제를 위해 부과하는 관세를 말한다. EU 집행위원회는 중국 정부가 자국 전기차 업체들을 대상으로 대출, 세금 감면, 보조금 등의 부당한 혜택을 제공한다고 판단했다.
━
관세 장벽에 막힌 중국 전기차
최근 중국 전기차는 유럽 시장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유럽자동차산업협회(ACEA)에 따르면 중국산 자동차의 점유율은 2020년 2.9%에서 2023년 21.7%로 점유율이 급등했다. BYD, 상하이자동차 등이 저렴한 가격과 성능을 앞세운 전기차를 집중적으로 판매한 영향이다.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될 경우 유럽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의 성장세는 둔화할 수밖에 없다.
![]() |
유럽자동차산업협회(ACEA)에 따르면 중국산 자동차의 점유율은 2020년 2.9%에서 2023년 21.7%로 점유율이 급등했다. 사진은 유럽으로 수출된 BYD 전기차.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도 지난달 27일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전기차 산업에 보조금을 지급해 미국 내 자동차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구체적으로 중국산 전기차에는 100%, 리튬이온 배터리에는 25% 수준으로 관세를 높였다.
중국 자동차 회사들은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현지에 공장을 짓고 있다. BYD는 헝가리에 공장을 건설 중이며, 터키에도 또 다른 공장을 세울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외에도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에서도 투자를 추진 중이다. 지리, 둥펑, 샤오펑 등의 기업도 유럽 내 미래 공장 위치를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한국 완성차 업체에 기회? 위기?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규제로 한국 완성차 업체들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올해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수출은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였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8월 한국의 전기차 수출은 17만8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23.4% 줄었다. 올해 상반기 현대차·기아의 유럽 시장 점유율 또한 8.2%로 전년 대비 0.5%포인트 하락했다.
현대차는 중국산 전기차에 제동을 건 유럽에서 친환경차를 앞세워 공략할 예정이다. 유로7(유럽 배기가스 규제) 기준에 맞는 차량을 내년부터 순차 출시할 예정이다. 유럽 현지 공장을 중심으로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 생산도 늘린다. 현대차 체코 공장은 하이브리드(HEV)부터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전기차(EV)까지 모든 생산설비를 갖춘 대규모 공장이다. 기아도 슬로바키아 공장에서 내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EV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체코 노소비체 현대차체코공장(HMMC) 내에 위치한 현대모비스 배터리시스템(BSA) 공장에서 현지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 현대차그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하는 고율 관세 여파가 우리 완성차 업체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유럽 시장이 관세 우려로 봉쇄될 시 중국 브랜드의 차량이 아세안, 중동 등 신흥시장에의 진출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 경우 친환경 차 시장을 두고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중국 업체들과 보다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우 기자 november@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