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실질임금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
입직자·이직자 줄어…건설업 대폭↓
근로시간 154.9시간…5.4시간 줄어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손님들이 '10.01 한돈데이' 선착순 세일 상품 구매를 위해 길게 줄지어 서있다. 2024.10.01. kgb@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권신혁 기자 = 근로자 실질임금이 최근 5개월 꾸준히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이너스를 기록한 올해 상반기에 비해 물가가 안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고용부의 2024년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물가수준을 반영한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337만9000원이다. 전년 동월 대비 1.4%(4만6000원) 늘었다.
물가수준을 반영하지 않은 근로자 1인당 명목임금은 387만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374만2000원) 대비 3.4%(12만8000원) 증가한 수준이다.
5개월 연속 '플러스'의 형태를 보인다. 1월부터 3월까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 4월 실질임금은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했고 이어 5월에도 0.5%, 6월엔 0.9% 늘며 2분기에는 증가세로 전환했다. 7월에도 마찬가지로 4.8% 늘었다.
다만 증가폭은 지난 7월에 비해 줄엇다.
아울러 올해 9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2013만5000명이었다. 전년 동월(2002만3000명) 대비 11만2000명(0.6%) 늘었다.
상용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2만7000명(0.2%) 증가했고, 임시일용근로자는 5만5000원(2.8%)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이 1674만2000명으로 9만1000명(0.5%) 늘었고, 300인 이상은 339만3000명으로 2만1000명(0.6%) 늘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242만명으로 9만2000명(3.9%) 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2만명·1.5%),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2만명·1.6%) 순으로 이어졌다.
[서울=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은 2만7000명(-2.3%)줄었고, 건설업(2만3000명·-1.6%), 도매 및 소매업(1만4000명·-0.6%)도 감소했다.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약 19%)은 376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올해 9월 중 입직자와 이직자 모두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입직자는 91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만4000명(-8.5%) 줄었으며 이직자는 88만8000명으로 7만8000명(-8.1%) 감소했다.
규모별로 보면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는 78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8만6000명(-9.9%) 감소했다. 이직자는 78만5000명으로 7만9000명(-9.2%) 줄었다.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의 경우 입직자는 12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00명(1.5%) 증가했고 이직자는 10만3000명으로 1000명(1.4%) 증가했다.
입직자 중 채용은 85만2000명으로 9만명(-9.5%) 줄었다. 특히 건설업에서 6만3000명(-20.6%) 대폭 감소했다.
이직자 중 고용계약종료, 구조조정, 합병 및 해고 등으로 인한 비자발적 이직은 55만명으로 6만9000명(-11.1%) 줄었다.
올해 8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5.7시간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시간(-3.4%) 감소했다. 관공서 공휴일 규정에 따른 근로일수가 전년보다 1일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63.6시간으로 5.6시간(-3.3%) 감소했고 임시일용근로자의 경우 87.4시간으로 3.4시간(-3.7%) 줄었다.
규모별로 보면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4.9시간으로 5.4시간(-3.4%) 줄었으며 300인 이상은 159.9시간으로 5.3시간(-3.2%) 감소했다.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광업(171시간), 수도·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170.8시간) 순이었고 짧은 산업은 건설업(129.4시간), 교육서비스업(136.6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innovatio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