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선거하는데 드론, 저격수까지 동원…투표소들 ‘철통보안’ [美대선 D-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선거결과 뒤집기, 폭동 시도 등 대비…보안 계획도 수립

트럼프 패배 불복 밑밥…여론조사서도 77%만 “패배 수용”

헤럴드경제

3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메이컨의 아트리움 헬스 원형극장에서 열린 선거 유세에서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열렬히 그를 응원하고 있다. [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11월 5일(현지시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폭력 사태 등 사고 예방을 위해 드론과 저격수를 배치하는 등 미 사법당국이 철통 보안에 들어갔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각 주 정부가 투표 당일은 물론이고 투표일 후 일어날 수 있는 불확실한 상황에 대응해 보안 계획을 수립했다고 3일 보도했다. 투표소에 대해 드론 감시를 시작했고, 주요 거점에 저격수를 배치했으며 개표 관리자의 비상 상황에 대비해 ‘패닉버튼(긴급비상벨)’까지 마련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네바다와 워싱턴 등 주에선 주 방위군을 가동했으며, 애리조나주의 최대 도시인 피닉스 시내의 개표 건물은 철통 보안 속에서 직원들이 실시간으로 상황을 보고할 예정이다. 조지아주는 유권자들이 문자로 법 집행 기관에 긴급 연락할 수 있게 투표소 내 신규 장치를 마련했고, 응급 마약 해독제인 나르칸도 비축했다.

각 연방 정부가 이처럼 철저한 보안을 준비하는 배경에는 지난 2020년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결과에 불복한 여파로 의회 폭동이 발생했던 것에 있다.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부정 선거를 주장하며 그의 지지자들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인준을 막기 위해 미국 국회의사당을 무력으로 점거했다. 이번 대선에서도 이 같은 폭동 사건이 일어날 것을 연방 정부에선 염두에 두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미 대선을 앞두고 오리건주 포틀랜드와 워싱턴주 밴쿠버 등에서 사전투표함에 잇따라 화재가 발생했고, 지난달 25일 샌안토니오에선 투표장에선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모자를 쓰는 것을 금지한다는 선거 관계자의 안내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자가 주먹을 날리는 일도 있었다. 미 의회 폭동을 주도했던 극우단체 ‘프라우드 보이즈’도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하기 위해 다시 집결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 전했다.

마리코파 카운티 보안관 러스 스키너는 최대 200명의 인력을 동원해 투표장 등지에서 24시간 근무하고 있다면서 “2020년 대선 이후 투표장에서의 보안 환경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대선이 오차범위 내 박빙 대결로 이어지면서, 승패가 결정돼도 싸움은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조차 ‘필승 지역’ 펜실베이니아에서의 선거 사기를 언급해 대선 불복의 밑밥을 깔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스크립스뉴스와 입소스가 지난달 25일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는 ‘폭력이 수반되더라도 필요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당선을 지지하겠다’고 답했다.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가 패배해도 선거 결과를 수용하겠다’고 한 응답자는 77%로 집계됐다.

한편 미국 대선과 관련한 허위 정보가 유포되고 있는 상황도 미 당국에선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국가정보국장실(ODNI), 사이버·인프라보안국(CISA)은 지난 1일 공동 성명문을 통해 “러시아의 영향력 있는 행위자들이 ‘아이티 이민자라고 주장하는 남성이 조지아주 여러 카운티에서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대선 후보에게 여러 번 투표를 했다고 말하는 허위 영상’을 제작했다”면서 “민주당 측 인사의 뇌물 수수, 해리스 부통령의 10대 소녀 뺑소니, 팀 월즈 민주당 부통령 후보의 성적 학대 범죄 등의 허위 정보 영상도 러시아가 제작했다”고 비난했다.

젠 이스터리 CISA 국장은 “허위정보가 담긴 콘텐츠들은 대선 결과에 대한 불신을 심어주고 미국인들을 서로 대립시키며 불안을 부추긴다”고 지적했다.

yckim6452@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