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비 투입해 흙더미 옹벽 세워
합참 “보여주기식… 군사 효용 없어”
4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군은 지난달 15일 경의선·동해선 남북연결 도로를 폭파한 이후 300∼400명의 병력과 굴착기 등 중장비를 투입해 지난 2일까지 이 같은 작업을 완료했다. 앞서 북한은 “도로와 철길을 완전히 끊어버리고 견고한 방어축성물로 요새화하는 공사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장사진 공개 합동참모본부는 북한군이 경의선·동해선 남북연결 도로에서 다수의 병력과 중장비를 투입해 11월2일까지 작업을 실시했다며 기존의 철도와 도로가 있던 곳에 대전차구를 콘크리트로 만들었다고 4일 밝혔다. 사진은 동해선 인근 구조물 설치 모습으로, 중앙 콘크리트 공사 부분이 대전차 구덩이이고 그 왼편으로 성토지를 쌓았다. 합참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경의선 남북연결도로는 폭파지점에서 70∼100m 떨어진 곳에 가로 120m, 세로 10m, 깊이 3m의 콘크리트로 만든 대전차구가 설치돼 있다. 대전차구의 북측 뒤편에는 흙을 쌓고 나무를 심어 높이 11m, 좌우로 120m, 남북으로 50m 규모 성토지를 만들었다. 흙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앞부분에는 옹벽을 세웠다.
동해선도 기존 도로와 철로가 지나가던 곳에 깊이 5m, 가로 160m, 세로 5m의 대전차구를 만들었고, 뒤편에는 5m 높이의 성토지를 쌓았다. 지난 2일 동해선에서는 작업을 끝낸 후 북한군이 인공기를 게양하는 장면도 우리 군에게 포착됐다. 북한군은 인공기를 꽂은 뒤 사진을 찍고, 몇 시간 뒤 바로 철수했다. 다만 경의선에서는 아직 인공기를 걸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합참은 “‘남북연결 완전차단’ 조치를 완료했다는 보여주기식 공사”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구조물들의 군사적 효용성은 없다는 것이다. 합참은 “성토지를 밀어 대전차구를 메우고 남침 루트를 만드는 것은 짧은 시간에 가능하다”며 “우리 군은 해당 지역 북한군의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북한이 언급한 ‘요새화’ 지역은 경의선·동해선 지역을 의미하는 것인지, 북한의 모든 지역을 뜻하는 것인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구현모 기자 lil@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