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통상, 삼성전자 등과 간담회
정인교(왼쪽 세 번째)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8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대미 투자기업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8일 “향후 트럼프 신 행정부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다양한 가능성에 차분하고도 철저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이날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대미 투자 기업 간담회’에서 “우리 업계와 긴밀한 공조 체계를 구축해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미국 신 행정부 및 업계 주요 인사 등과 협의가 적시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LG화학, 롯데케미칼, LS전선,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한화솔루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당선이 사실상 확정돼 정책 기조가 바뀌어 우리 대미 투자 기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민관이 합심해 우리 진출 기업의 이익 보호를 위해 긴밀히 대응해 나가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미국의 제조업을 부흥시키고 일자리를 늘리는 동시에 법인세 등 대규모 감세로 인한 세수부족분을 채우는 수단으로 관세를 내세우고 있다. 모든 중국산 제품에 6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고, 다른 나라의 수입품에는 10∼2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게 그의 계획이다. 이는 수출 중심 무역 국가인 우리 정부와 기업에 큰 도전 요인이 될 전망이다. 또 기업들은 대규모 보조금 유인책을 통해 자국 첨단 산업 기반 재건을 추진한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호응해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태양광 등 분야에서 대규모 미국 투자를 단행해 보조금 축소나 중단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산업부는 “향후 개별 업종별 릴레이식 간담회를 계속 열어 업계와 소통하면서 대미 통상 관계가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