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 네거리에는 “대구경북특별시, 서울과 함께 양대 특별시가 됩니다” 등이 적힌 펼침막이 여러장 내걸렸다. 김규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구시와 경북도 행정통합을 위한 설명회를 이어가자, 찬반 양쪽 모두 여론전에 나서며 갈등을 키우고 있다.
12일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 네거리에는 “대구경북특별시, 서울과 함께 양대 특별시가 됩니다” 등이 적힌 펼침막이 여러장 걸려 있었다. 대구상공회의소·바르게살기운동 대구광역시협의회 등이 건 것이다. 이런 펼침막은 대구시 중구 동성로 일대까지 나붙었다.
9개 구·군 설명회를 마친 대구시는 지난 11일부터 노동계·경제계·문화계 등 대상을 확대해 2차 설명회를 열고 있다. 행정통합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알리고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취지다. 이에 호응하듯 지지 성명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11일 한국노총 대구지역본부·대구경영자총협회·대구시체육회, 12일 대구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대구문화예술진흥원·대구상공회의소 등이 지지 성명을 냈다. 이들은 “투자 유치 및 일자리 창출로 대구경북 노동자·서민의 삶의 질이 비약적으로 높아질 것”(한국노총 대구지역본부) “인구 500만의 메가시티로서 대한민국의 경제 재도약을 위한 새로운 성장 거점이 될 것”(대구상공회의소)이라는 등 기대를 내놓았다.
대구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대구문화예술진흥원이 12일 대구시 달서구 대구문화예술회관 앞에서 대구경북행정통합 지지 성명을 발표했다.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전국공무원노조 대구지역본부는 12일 성명을 내어 “급조된 관제 설명회와 펼침막 선동을 중단하라”고 비판했다. 노조 관계자는 “공론화 과정을 생략한 일방적이고 졸속적인 하향식 행정통합 결정이라는 비난에 직면하자, 대구시는 관변단체와 공무원을 동원해 급조된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인구소멸시대에 현재 500만도 되지 않는 대구·경북 인구가 1200만으로 늘어난다니 공무원 조직 안에서도 ‘누가 이걸 믿겠냐’는 푸념이 나온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열린 대구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행정통합 추진 과정에서 주민 의사를 묻는 과정이 부족한 점이 지적됐다. 육정미 시의원은 “현재 행정통합은 정치권으로부터 하향식 강요에 가깝게 추진되고 있다”고 꼬집었고, 김대현 시의원은 “주민 투표를 하면 의견 수렴과 정당성 확보, 투표 추진 과정에서 홍보를 겸할 수 있기에 소요 비용 이상의 가치가 있다”며 주민 투표 필요성을 말했다.
안동 지역 시민사회는 ‘대구경북행정통합반대대책위’를 꾸리고 지난 8일 안동에서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대구경북행정통합반대대책위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북 북부지역에서는 반대 여론이 격해지고 있다. 예천·안동·영양·영주 등 4개 기초단체 의회는 행정통합 반대 결의문을 채택했다. 더불어민주당 안동·예천지역위원회는 지난 6일 성명을 내어 “안동·예천은 경북도청 이전으로 인한 신도시 활성화, 도심 공동화 등 구체적 현안을 헤쳐나가기도 벅차다. 행정통합은 오히려 위기를 가속화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8일 안동 지역 시민사회는 ‘대구경북행정통합반대대책위’를 꾸리고 안동에서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행정통합은 인프라가 풍족한 도시로의 인구와 자본의 집중만 초래할 뿐이다. 결과적으로 경상북도의 소멸만 가속할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결사 반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21일 대구시·경북도·행정안전부·지방시대위원회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폐지하고 관할구역을 통합해 ‘대구경북특별시’를 설치하기로 합의문을 썼다. 이들은 2026년 7월 통합 지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주민 설명회와 각 시·도의회 동의를 거쳐 행정통합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규현 기자 gyuhyun@hani.co.kr
▶▶지금 가장 핫한 뉴스, 빠르게 확인하세요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