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해군에 전달, 내달 초 취역…SM-3 미사일 탑재 사업타당성조사 진행 중
세종대왕급에는 SM-6 탑재 추진…다층 탄도미사일 방어 강화
차세대 이지스구축함 정조대왕함 |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북한 탄도미사일 탐지·추적은 물론 요격까지 가능해 '해군의 주먹'이라 불리는 정조대왕함의 키를 곧 해군이 잡는다.
20일 군에 따르면 정조대왕함은 오는 27일 해군에 인도된다.
정조대왕함은 2022년 7월 진수 이후 방위사업청과 건조업체 HD현대중공업이 시운전 등 기본 성능 검증 절차를 거쳤다.
정조대왕함을 넘겨받는 해군은 내달 초 취역식으로 함정이 해군에 왔음을 알리고, 이후 약 1년간 본격적인 해군 승조원 탑승과 무장 등 모든 분야에 대한 시험을 거치며 전력화 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정조대왕함은 경하배수량 8천200t으로 해군이 보유한 구축함 가운데 배수량이 가장 크면서도 최대 속력은 시속 30노트(약 55㎞)에 달한다.
무엇보다 정조대왕함은 탄도미사일 '탐지·추적'만 가능했던 기존 해군 이지스 구축함들과 달리 '탐지·추적·요격'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차별점이다.
핵심은 SM-3 함대공 미사일이다. 정조대왕급 이전의 구축함인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SM-2 함대공 미사일을 탑재했다.
세종대왕급도 이지스 전투체계를 탑재하고 탐지범위가 대략 1천㎞ 수준인 레이더를 갖췄지만, SM-2 미사일로는 고도 약 24㎞ 이하의 항공기와 순항미사일만 공격할 수 있다. 탄도미사일은 감시는 할 수 있지만 막지는 못한다.
정조대왕함에 탑재될 SM-3 미사일은 이런 작전 환경의 '게임 체인저'에 해당한다. 정부는 지난 4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SM-3의 구매를 결정했다.
군은 최대 요격 고도 500㎞ 수준인 SM-3 블록Ⅰ 구매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현재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사업 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SM-3 블록ⅡA 미사일 |
SM-3 일부 버전(블록ⅡA형)의 경우 요격 고도가 1천㎞를 넘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요격하는 무기이다 보니 한때 SM-3 도입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도 있었다.
북한이 한국에는 비행 고도가 낮은 단거리탄도미사일만 발사할 테니 불필요하다거나 미국 미사일방어망(MD)에 편입되는 것 아니냐는 등의 지적이 나왔다.
하지만 북한이 전력을 총동원하는 상황이라면 남측을 겨냥해 중거리급 이상의 미사일을 고각으로 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고, 미 본토로 향하는 ICBM의 요격을 한반도에서 수행해야 할 타당성이 낮다는 반론이 설득력을 얻었다.
군은 SM-3 도입을 통해 한반도 '전구 방어'(theatre defense)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북한 탄도미사일을 한반도 작전 해역 어디에서든, 더 높은 고도에서 요격할 기회가 생긴다는 것이다.
탄도미사일 궤적은 발사 직후의 상승 단계, 고공비행하는 중간 단계, 표적을 향해 하강하는 종말 단계로 나뉜다.
현재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는 지상의 패트리엇, 사드, 천궁(M-SAM) 등이 적 탄도미사일을 종말 단계에서 방어하는 체계로 구성됐다.
SM-3는 종말 단계뿐 아니라 중간 단계에서도 요격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미사일 요격이라는 고난도 임무의 추가 수행 기회를 담보할 수 있다.
정조대왕함은 SM-3 외에 종말 단계 탄도미사일 방어가 가능한 SM-6 미사일도 탑재할 예정이다.
군은 정조대왕함 전력화와 SM-3 도입에 이어 세종대왕급 구축함에도 SM-6까지 탑재해 탄도미사일 방어망을 다층적으로 더욱 두껍게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군 관계자는 "정조대왕함 전력화는 미사일 방어망 강화를 통해 대북 억지력을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j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