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9 (수)

이슈 경찰과 행정안전부

연구원 3명 숨진 현대차 울산공장 합동감식···안전시설 등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현대차 울산공장 정문 전경.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차량 성능시험 중 연구원 3명이 숨진 사고(경향신문 11월20일자 10면 보도)와 관련해 경찰 등이 20일 합동감식을 진행했다. 경찰은 사고 현장의 배기가스 배출 설비 등 안전시설에 문제가 없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 본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경찰청은 20일 오전 10시30분부터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고용노동부·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과 함께 울산시 북구 양정동 현대차 울산공장 전동화품질사업부 차량 성능 테스트 공간(체임버)에서 6시간 가량 합동감식을 벌였다.

합동감식반은 현장에서 사고 당시 진행된 차량 성능시험 관련 사항 등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안전시설 전반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장 감식이 끝난 후 경찰 관계자는 “공간 내부 환경을 사고 당시 진행된 차량성능 테스트 상황과 유사하게 재구성해 감식을 진행했다”면서 “오전에 진행된 부검 결과와 국과수 감식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고 당시 사망자들의 보호장구를 착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폐쇄회로(CC)TV 등을 확보해 정확한 경위를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현장 배기가스 배출 설비의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얘기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현대차 울산공장에서는 전날 오후 3시쯤 전동화품질사업부 복합환경 차량 성능 테스트 공간(체임버)에서 연구원 3명이 의식을 잃고 쓰러진 채 발견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쓰러진 연구원들을 병원으로 옮겼으나 모두 사망했다.

사망자 중 김모씨(45)와 박모씨(38)는 현대차 남양연구소 소속 책임연구원이며, 나머지 사망자 주모씨(25)는 외부업체 소속 연구원으로 확인됐다.

A씨 등은 이날 낮 12시50분쯤부터 차량의 각종 성능을 실험하는 공간인 ‘체임버’에서 차량에 탑승한 채 머물다 질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체임버는 차량 1대 정도 들어가는 크기의 공간이다. 해당 실험에선 온도·습도·진동 등을 달리하는 다양한 조건에서 차량 성능과 내구성 등을 확인한다.

사고 당시 A씨 등은 차량 주행 테스트와 아이들링(공회전) 테스트 등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실험 차종인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GV80의 운전석과 조수석, 뒷좌석에서 각각 발견됐다.

현대차 노조와 업계에서는 성능 테스트를 위해 차량을 바닥에 고정한 뒤 제자리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본다.

경찰과 현대차 측은 사고 당시 배기가스를 바깥으로 빼주는 장치가 제대로 작동했는지 여부 등에 무게를 두고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경찰은 정확한 사망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고 당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숨진 연구원들에 대한 부검도 의뢰했다. 공식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2주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는 현장에 근로감독관을 보내 사고 내용을 확인한 후 작업을 중지시키고,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사고 원인이 확인되면 관련자에 대해 업무상과실치사 등 혐의를 적용해 처벌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백경열 기자 merci@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짧게 살고 천천히 죽는 ‘옷의 생애’를 게임으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