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몸도 마음도 빨리 자라는 아이들이 많다. 그러다 보니 유난히 빨리 2차 성징이 찾아와 성조숙증에 걸린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아이 성장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 가는 사춘기, 하지만 또래보다 더 빠르게 찾아온다면 2차 성징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골격이 제대로 갖춰지기 전 유년 성장이 종료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평균적인 2차 성징 시기는 언제이고, 사춘기가 얼마나 빠르면 성조숙증이라고 진단할 수 있을까?
사춘기 여아 9~13세 남아 10~14세
최정은 이대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2차 성징이 여아는 8세 미만, 남아는 9세 미만에 나타나면 성조숙증이라고 할 수 있다”라며 “2차 성징의 가장 큰 특징은 여아는 유방이 발달하며, 남아는 고환이 커지고 음모가 발달한다는 점”이라고 전했다. 일반적으로 사춘기라고 부르는 2차 성징은 여아는 9세부터 13세까지 남아는 10세부터 14세까지 진행된다. 이 시기보다 1세 정도 빠르면 ‘조기 사춘기’ 1세 정도 늦게 늦으면 ‘사춘기 지연’이라고 한다. 사춘기 시기에 영향을 주는 것은 유전, 영양(비만), 사회적 배경, 환경호르몬 등 복합적인데 부모의 사춘기가 빨랐다면 자녀도 빠를 수 있어 유전적 요소가 70~80% 영향을 받는다.최 교수는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면 처음엔 잘 크는 것 같지만 골연령이 빨라져 사춘기가 정상으로 시작되는 아이에 비해 성인 키는 오히려 작을 수 있다”라며 “뿐만 아니라 또래와 이질감 등 심리적인 부분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어 부모의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성조숙증 진단 후 치료방법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성조숙증 진단과 치료법은 상태에 따라 다르고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다.
성조숙증 확진을 위해 일반적으로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자극검사를 시행하며 검사 결과 LH가 5.0 IU/L 이상으로 증가하고, 골연령 증가 및 2차 성징 발달을 동반한 경우 진성 성조숙증으로 진단한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골반 초음파, MRI 등 영상검사도 진행한다.
[박지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