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의 공개 토론 제안은 소액 투자자 보호를 내세워 연내에 다수 의석의 힘으로 개정안을 밀어붙이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기존 ‘회사’뿐 아니라 ‘총주주’로 확대하면 대규모 투자나 인수합병을 시도했다가 주가 하락 시 주주 소송에 휘말릴 것이라고 재계는 우려한다. 민주당은 감사위원 분리 선출, 자산 2조 원 이상 상장사의 집중투표제 의무화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경영진이 단기 주가 관리에 치중하고 투기자본의 경영권 공격이 증가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정부는 상법 개정을 놓고 부처 간 이견을 보이다가 이날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이사의 ‘충실 의무’를 ‘노력 의무’로 바꾸는 방안을 내놓았다. 재계와 소액주주의 입장을 절충하겠다는 안이한 자세가 아닐 수 없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두고 ‘미국 우선주의’ 쓰나미가 밀어닥치는 상황에서 상법 개정으로 기업들을 더 힘들게 해서는 안 된다. 반도체·배터리 등 주요 전략산업에 빨간불이 켜지고 증시 침체가 깊어지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주주 충실 의무 조항을 담은 상법 개정안은 글로벌 스탠더드에도 맞지 않는다. 미국의 모범회사법은 이사의 의무 대상을 ‘회사’로 한정하고 독일·일본 등도 비슷한 규정을 두고 있다. 기업의 사업 재편 과정 등에서 소액주주의 피해를 막아야 하지만 기업 경쟁력 훼손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민주당은 현실적인 소액주주 보호 방안을 찾고 경제 활성화에 협력해야 한다. 당정도 상법 개정에 대한 입장을 조속히 정리해 증시 ‘밸류업’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논설위원실 opinio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