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미술의 세계

들어서면 광활한 우주에 떨어진 기분…그런데 여기가 미술관이라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아트 등 성장 힘입어
기존 미술관 개념 탈피한
독립 전시공간 잇달아 개관
회화·조각 위주 전시 아닌
미디어·설치·퍼포먼스 펼쳐
정부, 미술관 기준 완화 추진


매일경제

미디어아트 전문 전시관 ‘칼로스 아트 스페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기존의 미술관 개념을 탈피한 전시공간이 관람객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있다. 그동안 회화·조각 중심의 미술계에서 상대적으로 외면 받았던 설치미술과 미디어아트, 퍼포먼스 등이 새롭게 주목 받으면서 이런 대안공간이 잇달아 문을 연 것이다. 이른바 ‘아트 스페이스’로 통칭되는 이들 공간은 미술관 운영에 따르는 여러 가지 제약에서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색다른 방식으로 작품을 펼쳐 미술 전시의 외연을 넓히고 있다.

지난 20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의 칼로스 아트 스페이스. 벽면을 가득 채운 대형 화면에 거대한 흰 고양이가 눈을 감고 살랑살랑 꼬리를 흔들고 있었다. 화면에서 고양이가 걷고 또 걷는 동안 주변엔 화려한 꽃이 피어오르기도 하고 나비도 날아다닌다. 털끝 하나까지 실물과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생생하게 표현된 이 3D 고양이는 미디어아트그룹 ‘칼로스(KALLOS)’의 미디어아트 연작 ‘자이언트 캣(Giant Cat)’이다.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거대한 고양이의 움직임에 몰입해 시시각각 변하는 초현실적인 화면에 집중하다 보면 자연스레 관객은 시각적, 정서적 즐거움을 얻게 된다.

칼로스 아트 스페이스는 인천 영종도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의 ‘오로라’ 거리에서 상영 중인 초대형 미디어아트 작품 ‘언더 더 블루랜드’(2024)의 제작자로 이름을 알린 칼로스가 상설 전시를 위해 지난 6월 개관한 미디어아트 전문 전시관이다. ‘빛으로 아름다움을 빚어낸다’는 콘셉트로 지하 공간에 어둡게 마련된 크고 작은 전시실 6개에서 ‘바람에 이끌리다’ ‘라이프’ 등 미디어아트 연작을 선보인다.

매일경제

영종도 ‘르 스페이스 인스파이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칼로스의 작업은 디자이너 출신 미디어 아티스트 문경진 칼로스 대표와 정호룡 작가가 주축이다. 문 대표는 “미디어아트는 오랜 역사를 지닌 회화나 조각에 비해 훨씬 유연할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며 “2년 전부터 두바이, 베트남, 영국, 캐나다 일본 등 해외 전시에 초청되면서 활동 영역을 넓히던 중 국내에서 관람객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자 아트 스페이스를 열게 됐다. 향후에는 해외에도 전시공간을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술계의 대안공간(alternative space)은 1970년대 초 새로운 형식과 매체의 예술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뉴욕의 소호 지역에서 시작된 운동이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예술가들이 직접 설립한 ‘대안공간 루프’와 같은 여러 대안공간이 생겨났지만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미술계 안팎에서 다양성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대안공간들이 다시 탄력을 받아 더욱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공간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인공지능(AI), NFT(대체불가능토큰) 등 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아트 시장이 빠르게 성장을 이룬 영향도 크다.

일례로 현대백화점그룹의 미디어콘텐츠기업 현대퓨처넷이 지난 5월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에 개관한 국내 최대 규모의 실감형 미디어아트 전시관 ‘르 스페이스 인스파이어’는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탄생했다. 초대형 미디어월과 인터랙티브 콘텐츠, 키네틱 조형, 홀로그램 등을 활용해 미지의 세계로 떠나는 우주 여행을 실감 나게 표현했다. 총 18개 전시실로 구성된 전시장의 총 면적은 약 6000㎡에 달한다.

올해 9월 서울 종로구 가회동에 개관한 전시공간 ‘푸투라(FUTURA) 서울’ 역시 ‘어떤 형식에도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예술공간’을 내걸었다. 첫 전시로는 터키 출신의 미디어 아티스트 레픽 아나돌의 아시아 첫 개인전을 펼쳤다. 푸투라 서울은 전시장의 형태도 색다르다. 보통 미술관은 화이트 큐브 형태에 자외선에 약한 회화의 특성 때문에 전시장에 자연광을 들이지 않는 게 보통이지만, 푸투라 서울은 건축 소재의 색을 그대로 살린 회색 벽면에 통창으로 자연광을 공간에 끌어들이는 파격을 보였다. 특정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퍼포먼스, 영상 등 기존의 갤러리나 미술관에서 소개하기 어려웠던 작가들을 새롭게 조명하는 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매일경제

삼성동 ‘프로젝트 스페이스 라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아트뿐만이 아니다. 이달 1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개관한 라인문화재단의 독립 전시공간 ‘프로젝트 스페이스 라인’은 개관전으로 3개 층에 걸쳐 설치미술가 박기원과 보태니컬 아티스트 박소희의 대형 설치 작품을 선보였다. 앞서 지난 2021년 미술 작가 문보람과 조익정 등이 모여 서울 용산구에 개관한 퍼포먼스 전문 대안공간 ‘윈드밀(WINDMILL)’에서는 연중 내내 다채로운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처럼 전시가 주 목적인 대안공간들은 미술관처럼 전시 관람을 위한 소정의 입장료를 받고, 일부는 무료로 개방하기도 한다.

이 같은 변화에 발 맞춰 정부는 내년부터 미술관 등록 기준을 완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운영 건전성, 지역사회 기여도 등 정부가 정한 기준을 충족하면 미술관으로 등록돼 세제 혜택 등 여러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뉴미디어 작품을 주로 취급하는 전시공간들에는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미술관으로 등록되기 위해서는 소장품을 100점 이상 보유해야 하는데, 실물이 없는 디지털 아트 작품의 경우 현행 규정에서는 소장품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새롭게 등장하는 형태의 전시공간들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내년에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추후 관련 규정을 정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