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강제' 빼고 '한반도 노동자' 언급…'반쪽 추도식' 회복 못한 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애도 표했지만 '간접 화법'…야스쿠니 참배 인사 '사과'는 없어

뉴스1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 및 참석자들이 추모 묵념을 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 관계자 및 유가족의 자리가 비어 있다. 한편 정부는 일본 주최 사도광산 추도식에 우리 정부가 불참하기로 결정했으며 사도광산 강제징용 피해자 유족들은 별도로 추모 행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4.11.24/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사도시=뉴스1) 노민호 정윤영 기자 = 정부의 불참으로 24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은 일본 측 인사만 참석한 채 '반쪽 행사'로 진행됐다. 일본은 추도사에서 '한반도 출신 노동자'에 대한 애도의 뜻은 밝혔으나 강제징용을 인정하는 발언은 피하며 '반쪽 난' 추도식의 의미를 끝내 회복하지 못했다.

24일 오후 니가타현 사도시의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추도식에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은 추도사에서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가치를 먼저 언급했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이어 광산 노동자 등 선조들의 헌신을 말하며 "광산 노동자 중에는 1940년대 전쟁 중에 일본의 당시 노동자 정책에 기반해 한반도에서 온 많은 분이 포함돼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반도 출신 노동자'에 대해 "전쟁이라는 특수한 사회 상황에서라고 해도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이곳에서 사랑하는 가족을 생각하며 갱내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곤란한 노동에 종사했다"라고도 했다. 이어 "종전(終戰)까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했으며 또한 안타깝게도 이곳에서 생을 마감한 사람들도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선조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경의를 표하며 돌아가신 모든 분께 다시 한번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한다"라고 덧붙였다.

이쿠이나 정무관의 이번 추도사는 지난 7월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될 때 일본 측이 내놨던 표현과 유사한 수준으로, 정부는 당시엔 이같은 표현을 수용하는 입장을 보였다.

다만 이번 추도사에 우리 정부의 요청 사항이 담겼는지, 일본 측이 우리 측의 구체적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자체적으로 준비한 추도사만 낭독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외교부는 이날 일본의 추도사에 대해 "정부는 24일 개최된 추도식 관련 제반 사항을 고려해 불참을 결정했다"라는 입장만 밝혔다.

뉴스1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이 헌화를 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일본 주최 사도광산 추도식에 우리 정부가 불참하기로 결정했으며 사도광산 강제징용 피해자 유족들은 별도로 추모 행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4.11.24/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전후 사정을 차치하더라도, 사도광산 강제징용 노동자들에 대한 사실상의 첫 추모식에서 일본이 '한반도 출신 노동자'만 언급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긴 어렵다. 이번 추도식에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이쿠이나 정무관을을 내세우는 등 준비 과정에서 일본이 보인 무성의한 태도로 봤을 때는 더더욱 그렇다.

특히 이번 추도사는 '한반도 노동자의 노고에 경의를 표한다'와 같이 직설적인 화법이 아닌, '선조들의 노고'라며 한일 노동자를 모두 뭉뚱그려 놓는 방식의 간접적인 화법이 구사됐다는 점도 지적할 만하다.

한국이 일본의 진정성을 '진정으로' 인정할 수 있는 '강제', '반성' 등의 표현이 여전히 빠짐에 따라 지난해 우리 정부의 '강제동원 문제 해법' 발표 이후 일본에게 요구되는 '성의 있는 호응'은 아직 기대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일각에선 지난 7월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당시 가노 다케히로 주유네스코 일본대사가 "특히 한반도 출신 노동자들을 포함한 사도광산의 모든 노동자들을 진심으로 추모한다"라고 말한 것과 비교해도 오히려 후퇴한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2015년 '미래세대에 사죄의 숙명을 지워선 안 된다'는 발언으로 파장이 일었던 이른바 '아베 담화'의 지침에서 이시바 시게루 정부도 자유롭지 못하다는 비판도 가능하다.

조진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일본센터장은 "애도의 뜻을 표한 건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최근 한일관계를 고려했다면 좀 더 한반도 노동자에 대한 애도를 스트레이트(직설적)로 얘기했어야 한다"라고 평가했다.

조 센터장은 "1995년 아시아 나라에 대한 식민지배를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 등의 내용을 다시 한번 얘기했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다"라며 "국제사회에서 인권문제의 조류(潮流)는 피해자 중심이라는 걸 일본이 알아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일본 전문가는 "한국인들의 정서를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나온 추도사"라며 "특히 문화교류를 하자는 부분은 생뚱맞다. 여러모로 사도광산의 역사와 한일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추도사"라고 비판했다.

n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