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친환경 용어 변경 착수
트럼프 親화석연료 정책 대응
S&P청정에너지 지수 10%↓
월가 친환경 투자 리스크 확대
브랙록 이미 ESG 용어 폐기
트럼프 親화석연료 정책 대응
S&P청정에너지 지수 10%↓
월가 친환경 투자 리스크 확대
브랙록 이미 ESG 용어 폐기
지난 6일 새벽(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 팜비치 컨벤션센터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월가에 친환경 투자를 일컫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용어가 사라질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친환경 정책을 폐기하고 석유 등 화석연료 부흥을 추진하자 월가가 친환경 관련 용어부터 폐기를 추진 중이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월가 친환경 부문 투자 매니저들은 이달 초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친환경 투자의 브랜딩을 개선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용어 변경을 통해 친환경 분위기를 최대한 제거하자는 취지다.
미국 친환경 투자 전문회사 갤버나이즈 클라이민 솔루션의 조 슘버그 매니징 파트너는 “우리는 기후변화나 에너지 전환 등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용어를 바꿔야 한다”면서 “미 동부 엘리트들이 미국 전역의 개인 부동산에 탄소포집기를, 산업 시설에 생태 화장실을 설치하라고 강요하듯 들리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트럼프 당선인의 반친환경 정책 때문이다. 그는 기후 변화를 두고 ‘사기’ 와 ‘거짓’이라고 정의하고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폐기할 뜻을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또 에너지장관 석유기업 리버티에너지의 크리스 라이트 최고경영자(CEO)를 지명하는 등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펼칠 계획이다.
이에 월가 친환경 투자업계는 곤혹스러운 분위기다. 청정에너지 전환 관련 500억달러 규모 투자를 이끈 임팩스자산운용의 이언 심 CEO는 “이번 대선은 ESG 혹은 지속가능한 투자업계에 경종을 울렸다”면서 “ESG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이제 불가피하게 자신의 이력을 공개해야 하는 곤란한 상황에 처했다”고 전했다.
트럼프의 당선은 친환경 투자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투자자들은 풍력이나 태양광 등 ESG와 밀접한 종목의 주식들을 팔아치웠기 때문이다. 22일 기준 S&P글로벌 청정에너지 지수는 대선날인 5일 대비 10% 급락했다.
일각에서는 ESG 전문가들에게 새로운 정치 환경을 맞아 변호사를 가까이 둘 것을 조언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제프리스 파이낸셜 그룹은 “ESG 분야 자산 매니저들에게 반독점 리스크가 높게 됐다”면서 “미국 정부가 반(反) ESG 관련 법을 강화함에 따라 법적 리스크도 커졌다”고 경고했다.
이미 월가에 ESG 용어를 퇴출한 곳도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지난해 “ESG 용어가 정치화됐고, 사람들마다 받아들이는 의미가 달라졌다”면서 ESG 용어를 더 이상 쓰지 않았다. 한 때 ESG를 ‘지각 변동’이라고 표현하며 ESG 관련 투자에 앞장섰던 입장을 180도 바꾼 것이다.
ESG라는 용어의 정치화는 미국에서 친환경 정책을 두고 공화당과 민주당이 대립하면서 시작됐다. 올해 공화당색이 짙은 미국 30여개주는 금융사가 친환경을 투자 기준에서 우선시 하지 못하도록 하는 반ESG 법을 발의 했다. 텍사스주는 올해 봄 블랙록 투자했던 자금 85억달러(약 11조원)을 빼냈다. 블랙록이 석유에너지 기업 투자를 보이콧 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친환경 정책을 퇴보시키는 것으로 비난했다.
뉴욕 소재 마케팅 전문 컨설팅회사인 매스랜스키 플러스 파트너스는 “친환경 분야 사람들이 ESG 용어를 사용하면 인구의 절반을 소외시키는 것”이라며 용어 변경을 촉구했다.
한편 월가에서는 친환경 투자 부문에서 용어가 바뀌고 일부 사업이 축소될 수는 있더라도 관련 투자는 어느 정도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우선 여전히 수익을 벌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또한 세계적인 친환경 전환 추세에서 미국만 빠지면 관련 기술 개발이나 일자리 등에서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다.
슘버그 파트너는 “트럼프 당선인이 녹색 투자에서 완전히 발을 뺄 거라고 가정하는 것은 위험하다”면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풍력과 태양광에도 세금 공제가 이루어졌고 상당한 친환경 전환 투자 증가가 있었다”고 전했다. 1기 행정부가 친환경 부문에 보조금을 더하지 않았지만 수익성이 좋았기 때문이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