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수무책으로 추락하던 출산율이 소폭이나마 반등에 성공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미뤄지면서 줄어든 결혼·출산의 기저 효과가 크겠지만 올 6월 윤석열 대통령이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정부와 기업 등이 인구 절벽 해소 노력에 나서는 등 사회 분위기가 달라진 영향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출생 위기 극복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찔끔’ 반등에 성공했어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51명에 한참 못 미친다. 인구 규모를 유지하기 위한 합계출산율 마지노선이 2.1명인데 ‘0명대’ 출산율에 갇혀 있다가는 “한국이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소멸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는 경고가 현실화할 수밖에 없다.
국가 경쟁력은 물론 국가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저출생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일시적인 출산율 반등에 안주하지 말고 추세적 상승 흐름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려면 정부는 국가 역량을 총동원해 주거, 일자리, 보육·교육 제도 개선과 일·가정 양립을 망라하는 파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기업도 출산·육아 친화적 분위기 조성에 앞장설 필요가 있다. 국회는 저출생 대책 컨트롤타워인 인구전략기획부 설립을 위해 관련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내야 한다. 민관정이 뜻을 모아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파격적인 출산·보육 지원 대책들을 세우고 총력을 기울여 실행해야 2030년 합계출산율 1.0명이라는 정부 목표를 달성하고 인구 소멸 시계를 늦출 수 있다.
논설위원실 opinio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