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은 2022년 기준 28세부터 소비보다 노동소득이 많은 흑자 인생을 살다 61세에 적자 구간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해 노동소득의 증가분보다 소비가 더 많이 늘면서 생애주기적자는 53조원 넘게 늘었다. 노동연령층 중 가장 연령대가 높은 55~64세는 10년 전만 해도 적자였지만 노동소득이 늘면서 2020년 흑자로 전환해 2022년에는 흑자액이 약 10조원에 달했다.
통계청은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2022년 소비는 1364조1000억원, 노동소득은 1168조7000억원으로 각각 집계돼 소비와 노동소득의 차액인 생애주기적자는 195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소비는 9.9% 증가한 반면 노동소득 증가폭은 6.3%에 그쳐 생애주기적자는 2021년 대비 53조7000억원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에는 노동·자본·이전소득이 포함되지만 생애주기적자는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만 파악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큰 적자가 발생한다. 통상 노동연령층(15~64세)에서 발생한 흑자액은 적자 구간에 속한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이전’(상응하는 대가 없이 거래)과 ‘자산재배분’(자산소득-저축)을 거쳐 흘러간다.
지난 2022년 노동연령층에서는 143조9000억원의 흑자가 발생했다. 반면 유년층과 노년층에서는 각각 176조8000억원, 162조5000억원 적자를 나타냈다. 노동연령층의 경우 소비가 9.0% 증가한 969조5000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노동소득(1113조4000억원)은 5.7% 늘었다. 유년층은 노동소득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소비가 10.5% 늘었다. 노년층은 소비 증가폭(13.7%)보다 노동소득 증가폭(20.7%)이 컸다. 노동연령층 중 나이가 많은 55~64세의 경우 2012년에는 15조9000억원 적자였지만 2020년 이후 흑자로 전환해 2022년에는 흑자액이 약 10조원에 달했다.
1인당 생애주기를 기준으로 우리 국민은 17세에 생애주기적자가 4078만원에 달해 최대를 기록했다. 공공소비로 1296만4000원, 민간소비로 944만6000억원을 쓰는 등 소비가 4112만5000원에 달해 전 연령대 중 가장 컸다. 이후 27세까지 적자가 발생하다 28세부터 흑자로 전환된 뒤 60세까지 흑자 인생이 이어졌다. 1인당 노동소득은 43세에 4290만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나이가 들수록 점차 감소했다. 다시 적자 구간에 진입하는 시기는 61세였는데, 연령이 증가하면서 적자 규모는 증가했다. 다만 적자 재진입 연령은 2010년 56세에 그쳤지만 2019년 60세로 늦춰진 뒤 2020년 61세, 2021년 60세, 2022년 61세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흑자 진입 시기는 2010년 이후 27~28세로 일정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각 생애주기에서 발생한 적자는 흑자 발생 연령(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연령재배분액이 순유입되면서 메워졌다. 노동연령층에서 143조9000억원이 순유출돼 유년층과 노년층에 각각 176조8000억원, 162조5000억원 순유입됐다. 구체적으로 이전과 관련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98조1000억원은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각각 177조4000억원, 118조원 순이전됐다. 구체적으로 공공이전의 경우 노동연령층에서 세금과 사회부담금 등으로 190조원이 순유출됐고, 민간이전은 노동연령층에서 가족부양 등을 위해 108조1000억원이 순유출됐다. 자산을 매개로 한 자산재배분은 유년층에서 6000억원이 순유출됐고, 노동연령층(154조2000억원)과 노년층(44조4000억원)에서 각각 순유입됐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