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석] "출생부터 교통까지"…인천, 민생정책 발표
<출연 :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인천광역시가 출생 정책부터 교통 정책까지 시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민생정책을 잇달아 발표했습니다.
인천형 3호 저출생 정책으로 출산 부모의 대중교통요금 지원을 확대하는 '아이 플러스 차비드림'를 시행합니다.
시내버스 요금으로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는 '인천 아이 바다패스' 정책도 도입하는데요.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을 모시고 어떤 정책들인지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질문 2> 이렇게 인천시에서는 저출생 정책을 계속 확대하면서 새로운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인천형 저출생 정책 3호로 출산부모의 대중교통비를 지원하는「아이 플러스 차비드림」정책을 지난달에 또 발표하셨다고요?
<질문 3> 그리고 인천시에서는 시민 체감 사업들을 많이 시행하고 있는데요, 대중교통 지원사업「인천 아이 패스」,「인천 광역 아이 패스」등 이른바 아이 시리즈 민생정책들을 계속해서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전국 최초로 여객선의 대중교통화 실현을 위한 인천 보물섬 프로젝트 제1호 「인천 아이 바다패스」정책을 지난달에 발표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소개해 주신다면요?
<질문 4> 이 정책으로 인천 섬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져서 섬을 찾는 인천시민뿐만 아니라 타시도 시민들까지 관광객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섬 관광 지원계획도 있으신지요?
<질문 6> 한편, 지난 7월부터 시작된 북한의 대남 소음방송으로 접경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오래동안 지속되고 있습니다. 시장님께서 여러번 현장을 방문했고, 이번달에도 강화군 피해지역을 다녀오셨는데요, 현지 상황과 대책 관련해서 말씀해 주신다면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인천광역시가 출생 정책부터 교통 정책까지 시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민생정책을 잇달아 발표했습니다.
인천형 3호 저출생 정책으로 출산 부모의 대중교통요금 지원을 확대하는 '아이 플러스 차비드림'를 시행합니다.
시내버스 요금으로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는 '인천 아이 바다패스' 정책도 도입하는데요.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을 모시고 어떤 정책들인지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질문 1> 인천시에서 지난해 말 발표한 인천형 저출생 정책 제1호로 「아이 플러스 1억드림」 사업이 올해부터 시행되면서 전국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어서 인천형 저출생 정책 제2호 「아이 플러스 집드림」 등 추가정책도 시행하면서 인천시 출생률이 반등을 보이고 있다는데, 시장님의 도전 성공할 수 있을까요?
<질문 2> 이렇게 인천시에서는 저출생 정책을 계속 확대하면서 새로운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인천형 저출생 정책 3호로 출산부모의 대중교통비를 지원하는「아이 플러스 차비드림」정책을 지난달에 또 발표하셨다고요?
<질문 3> 그리고 인천시에서는 시민 체감 사업들을 많이 시행하고 있는데요, 대중교통 지원사업「인천 아이 패스」,「인천 광역 아이 패스」등 이른바 아이 시리즈 민생정책들을 계속해서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전국 최초로 여객선의 대중교통화 실현을 위한 인천 보물섬 프로젝트 제1호 「인천 아이 바다패스」정책을 지난달에 발표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소개해 주신다면요?
<질문 4> 이 정책으로 인천 섬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져서 섬을 찾는 인천시민뿐만 아니라 타시도 시민들까지 관광객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섬 관광 지원계획도 있으신지요?
<질문 5> 인천시에서 전국 최초로 소상공인 반값택배 지원사업도 지난달 28일부터 시작했습니다. 요즘 어려운 소상공인들이 많은데요, 어떤 지원을 받게되는지 정책 내용을 안내해 주신다면요?
<질문 6> 한편, 지난 7월부터 시작된 북한의 대남 소음방송으로 접경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오래동안 지속되고 있습니다. 시장님께서 여러번 현장을 방문했고, 이번달에도 강화군 피해지역을 다녀오셨는데요, 현지 상황과 대책 관련해서 말씀해 주신다면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