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결혼도 역대 최대 증가율…바닥 찍은 출산율, 반등 기대감 ↑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2024년 월별 출생아수 증감률 추이/그래픽=김지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출산율 '바닥론'이 현실화하고 있다. 출생아 수가 3개월 연속 증가하며 지난 3분기 합계출산율(한 여성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수)이 10년 만에 전년 동기 대비 증가전환하면서다. 특히 합계출산율의 선행지표라 할 수 있는 혼인건수도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며 출산율 반등 기대감을 키운다.


9월까지 합계출산율 0.74명…올해 합계출산율, 장래인구추계 전망치 웃돌듯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합계출산율은 지난해와 같은 0.74명이다.

하지만 분위기는 확연히 다르다. 지난해 4분기 역대 최저 합계출산율(0.66명)을 기록한 기저효과로 올해 4분기는 합계출산율 반등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출산율 반등은 지난 2분기부터 감지됐다. 지난 2분기 합계출산율은 0.71명으로 1년 전과 같았다. 2015년 4분기 이후 이어지던 분기 합계출산율(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가 멈춘 것이다. 이어 지난 3분기엔 1년 전보다 0.05명 많은 합계출산율(0.76명)을 기록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4분기 합계출산율이 지금과 수준을 유지한다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0.74명 정도까지 늘어 지난해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0.72명)을 상회하는 것은 물론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에서 전망한 올해 합계출산율 0.68명을 웃돌 수 있다는 의미다. 전년 대비 합계출산율은 2015년 이후 8년째 감소 흐름을 보이고 있는 중이다.

이와 관련,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도 올해 합계출산율이 0.74명 내외로 반등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이에 따라 연간 출생아 수도 9년 만에 전년 대비 증가 전환할 전망이다. 연간 출생아 수는 2015년 43만8420명을 기록한 이후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 연속 감소했다. 2017년과 2020년에는 각각 연간 출생아 수 40만명대, 30만명대 벽도 깨졌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28명으로 역대 최저로 주저 앉았다.


기저효과, 30대 여성 출산율 증가에 출산율 '쑥'

머니투데이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 9년 만에 반등하나/그래픽=윤선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출산율 반등은 그동안 출생아 수가 워낙 적었던데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코로나19(COVID-19) 종료 이후 늘어난 혼인건수 및 30대 여성 출산율 증가 등이 배경으로 꼽힌다.

실제 해당 연령의 여자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을 살펴보면 지난 3분기 기준 30~34세 여성 출산율은 71명으로 1년 전보다 6.6명 증가했다. 35~39세도 같은 기간 4.5명 늘어난 47.2명을 기록했다.

혼인건수가 증가한 것도 출산율 증가로 이어졌다. 지난 9월 혼인 건수는 1만5368건으로 1년 전보다 18.8%(2428건) 증가했다. 3분기로 보면 1년 전보다 24% 뛴 1만3건을 기록했다. 1~9월 누계(증가율 12.8%)까지 포함해 각각 역대 최대 증가율이다.

임 과장은 "2023년 8월부터 2024년 1분기까지 혼인건수가 증가했고 30대 초반 인구 증가와 출산율 상승이 최근 출생아 수 증가로 이어졌다"며 "최근 '2024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결혼을 하면 자녀를 가져야한단 인식이 2022년보다 3.1% 증가하는 등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것도 출생아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바닥은 찍었는데…중장기적 '반등' 가능할까

문제는 저출산이 바닥을 찍고 중장기적으로 우상향 할지 여부다.

당장의 전망은 밝다. 정부의 저출산 정책 등의 효과로 최근 혼인건수가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서다. 혼인은 시차를 두고 출산에 반영되는 만큼 최근의 혼인 증가는 내년 하반기 혹은 내후년 출산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합계출산율 수준 자체가 절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지적이다. 합계출산율 0.7명대를 지키더라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 출산율(1.51명)의 절반에 그치기 때문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내후년까지는 올해 혼인이 출산으로 이어질 부분이 있어 (출산율이) 조금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혼인이 2023년 상대적으로 워낙 낮았던 데다 최근 정부의 여러가지 (저출산) 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결혼지원금 등 영향이 계속 유지될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