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이상은 20% 그쳐…연령에 따른 인식차 커
모델 문가비가 공개한 아들 사진(왼쪽)과 배우 정우성. 문가비 인스타그램·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7일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는 지난 5월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30.3%는 비혼 출산에 찬성한다고 답했고 특히 20~30대 응답자의 35% 이상은 비혼 출산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반면 60대 이상의 비혼 출산 찬성 비율은 20.8%로 나타나 연령대에 따른 인식 차이가 확연했다.
응답자들이 결혼 생활에서 가장 기대하는 요소로는 ‘심리·정서적 안정’이 8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경제적 안정’(78.5%), ‘성적으로 친밀한 관계’(73.9%), ‘자녀를 가질 수 있는 기대감’(64.4%) 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비혼 동거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57.1%로 20대(74.2%)와 30대(67.3%)가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60대 이상은 35.7%만이 동거를 긍정적으로 봤다.
혼인 신고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38.4%가 혼인 신고를 가지 않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했다. 나머진 61.6%는 혼인 신고가 결혼의 필수 절차라고 봤다.
조민희 피앰아이대표는 “비혼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반영한 결과”라며 “이러한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전통적인 결혼관의 약화, 경제적 불안정, 성평등에 대한 인식 향상을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피앰아이가 자사 자체 패널인 ‘위즈패널’을 통해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1.79%포인트다.
한편, 지난해 혼인 외 관계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1만 명을 넘어 전체 출생아 23만명 중 4.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출생아 20명 중 1명이 혼외자인 셈이다.
혼외 출산이 빠르게 늘고 있지만 관련 법적·제도적 장치는 미비한 실정이다.
2004년 비혼 출산을 했다고 밝힌 최현숙 미혼모협회 ‘인트리’ 대표는 26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비혼 출산’의 경우 친부가 책임지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양육비를 받기 위한 절차는 복잡하고 오래 걸린다. 그 절차를 다 거쳐서 아빠를 찾아내도 (양육비를 강제하는) 법은 만들어져 있지만 사실 안 주면 그만”이라며 법률상 실질적인 효력이 없음을 지적했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