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상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4일 저녁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본회의 대통령 탄핵안 보고 관련 논의를 위해 비공개 의원총회에 참석하기 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1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를 이유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의 국회 본회의 보고가 임박한 가운데 여당인 국민의힘이 '탄핵 불가'를 당론으로 정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당시 여권 분열로 자초했던 위기를 반복해선 안 된다는 판단으로 읽힌다.
국민의힘은 4일 밤 10시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령 선포 사태에 대한 대책과 의견을 논의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의원총회 초반 인사말을 한 뒤 국회 본관을 빠져나갔다.
이날 의원총회에 참석한 여당 의원 다수는 더불어민주당 등이 국회에 제출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비상 계엄에 대한 책임자 규명과 조치차원으로 김용현 국방부 장관의 해임과 국무위원 총사퇴 등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대통령 임기단축이나 탄핵으로 이어지면 당이 회복불능한 정치적 타격을 입는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당이 해체 직전까지 갔던 점을 들어 탄핵만은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곽규택 국민의힘 원내 수석대변인은 "(대다수 의견이) 탄핵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라며 "5일 오전 0시10분 예정인 본회의에는 (반대의 의미로) 안 들어갈 가능성이 많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당론으로 반대 방침을 정했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말했다.
정성국 의원은 의원총회 쉬는 시간 취재진과 만나 "박근혜 전 대통령 당시 대응 등 늘 나왔던 얘기가 있었다"며 탄핵까지 가선 안 된다는 의견이 있었다"고 말했다. 3선인 친윤계(친윤석열계) 이철규 의원도 "안에서 별 얘기가 없었다"며 "탄핵은 안 된다는 의견이 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탈당 필요성에 대해선 의원마다 의견이 갈렸다. 앞서 한동훈 대표는 이날 오후 한덕수 국무총리 등과 만난 자리에서 대통령의 탈당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한 대표 등은 이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 대통령과의 면담에서도 탈당 의견을 전달했으나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한다. 원내 친윤계는 대통령의 탈당이 곧 탄핵안과 임기 단축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점을 우려해 반대 의견을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 최다선이 조경태 의원은 "저는 (윤 대통령이) 탈당을 해야 된다고 보고 있다"며 "만약에 탈당을 하지 않을 경우에 대표께서 강력한 리더십을 가지고 제명 또는 출당을 시켜야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탄핵안에 대해서는 "비상계엄으로 인해서 많은 국민들께서 유무형의 피해를 입었다"며 "막대한 피해를 입은 부분에 대해서 당연히 대통령이 좀 책임져야 될 부분 책임을 져야 된다"는 말로 의견을 대신했다.
3일 비상계엄 선포를 야당에 대한 '경고성'으로 했다는 대통령실 안팎의 해석에 대해선 대체로 우려섞인 반응을 내놨다. 한동훈 대표는 의원총회에 참석하는 길에 취재진에게 "계엄이 경고성일 순 없다"며 "계엄을 그렇게 쓸 수 있겠냐"며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냈다. 정성국 의원은 "의원총회에서도 그런 우려 나왔다"며 "국민 감정을 더 끓게 만드는 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대통령에게 전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경태 의원은 "왜 비상계엄을 선포했는지, 왜 공수부대가 민의의 정당인 국회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그런 내용들을 소상히 밝혀야 된다"며 "진솔한 사과와 그거에 따른 응당 책임도 져야 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상계엄이라는 것이 전시 상태나 또는 거기에 준하는 아주 위급한 상태에서 할 수 있는 것"이라며 "야당이 협조해 주지 않아서 했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훈남 기자 hoo13@mt.co.kr 박상곤 기자 gone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