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등 재무리스크 점검"
여의도 사옥 있는 LG는 재택근무 권고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계엄령 선포에 반대하는 시민과, 이를 저지하는 경찰 병력들이 모여 혼잡스러운 상황을 빚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와 국회의 계엄 해제로 국내 재계도 대책을 마련하느라 바삐 움직였다. 주요 기업들은 경영진 긴급 회의를 소집해 사태 추이를 점검했고 국회가 있는 서울 여의도 근처에 터를 잡은 기업은 직원들에게 재택근무를 권하기도 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 SK 현대차 LG 등 주요 그룹은 전날 비상계엄 직후부터 경영진을 중심으로 시시각각 바뀌는 상황을 살폈다.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가 환율, 유동성 등에 영향을 줘 국내 사업은 물론 수출 등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서다. 주요 그룹 관계자는 "어제 밤 환율이 급등해 거래선 등을 긴급 점검했다"며 "경영진이 만나서 회의할 시간도 없어서 일단 온라인으로 실시간 상황을 보고했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날이 밝자마자 경영진을 중심으로 비상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삼성은 계열사별 오전 임원 회의에서 비상계엄 선포에 따른 국내외 리스크와 대책 마련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SK그룹은 이날 오전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주관으로 주요 경영진이 참석하는 대책 회의를 열어 시장 및 그룹에 미칠 영향 등을 따져봤다. LG그룹도 오전 계열사별로 비상대책회의를 소집해 금융 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해외 고객 문의에 대한 대응 등을 파악했다. 특히 국회의사당에서 멀지 않은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일하는 직원들에게는 집에서 일하는 것도 괜찮다고 전달했다. 비상계엄은 해제됐지만 여의도 일대에 여러 혼란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내린 조치다. 네이버도 원격 근무를 권고했다.
HD현대도 긴급 사장단 회의를 소집해 발생 가능한 상황을 점검하고 계열사별 대응 전략을 짜기로 의견을 모았다. 권오갑 회장은 "국내외 상황이 긴박하게 움직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각사 사장들은 비상경영 상황에 준하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특히 환율 등 재무 리스크를 집중 점검해 달라"고 주문했다. 포스코홀딩스도 관련 부서를 중심으로 금융시장 동향 등을 점검했다.
플랫폼사도 안정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상 대응 체제를 마련했다. 네이버는 이날 오전 최수연 대표 주재로 회의를 연 후 긴급 대응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네이버의 경우 3일 밤 비상계엄이 선포된 후 카페와 뉴스 댓글 서비스에 트래픽이 몰려 일부 오류가 발생하고 비상 모드로 전환했지만 현재는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카카오도 정신아 대표와 CA협의체 경영진이 모여 비상경영회의를 열어 서비스 운영 상황을 점검했다.
기업·재계단체 행사 줄줄이 취소
11월 29일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상계엄 여파로 기업과 경제단체들은 계획한 행사를 줄줄이 취소했다. 이날 오전 예정한 영풍과 MBK파트너스의 '고려아연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가치 회복' 기자간담회가 취소됐다. 대한상공회의소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주재로 오전 국회에서 열 예정이던 상법개정안 토론회를 취소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날 '제 1회 안전문화혁신대상 시상식' 참석자를 바꿨다. 참석 예정이던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계엄 영향으로 불참하게 되면서다.
재계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경영 불확실성에 이어 국내 정국 불안이 경영에 대형 악재가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인데 (이번 사태로) 대외 신인도에 악영향을 미칠까 걱정된다"며 "정치가 경제에 이렇게 영향을 주면 안 되는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윤주 기자 misslee@hankookilbo.com
김지현 기자 hyun1620@hankookilbo.com
김청환 기자 chk@hankookilbo.com
강희경 기자 kstar@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