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사태' 여파 퇴진으로 수장 공백 우려…"이럴수록 잘하자" 기류도
부서 연말 모임 줄취소 분위기…"폭설 특별재난지역 이르면 금주 발표"
장관없는 행안부장관실 |
(세종=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윤석열 정부의 초대 행정안전부 수장을 지낸 이상민 전 장관이 '12·3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물러나면서 행안부 내부에서는 뒤숭숭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11월 폭설' 피해 보상 대책과 국가 행정 체제 개편 등 굵직한 국정 과제에 차질을 빚게 될 것이란 우려가 잇따르는 가운데 행안부 실무자들은 수장 공백은 있어도 업무 공백은 없을 것이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전 장관은 8일 사퇴하면서 "이제 행안부 장관의 직을 내려놓고자 한다"며 "국민 여러분을 편하게 모시지 못하고 대통령님을 잘 보좌하지 못한 책임감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국민께 송구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이 전 장관 사퇴 다음 날인 9일 찾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 위치한 장관실에는 장관실 관계자 1명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장관실 근처 사무실에서 일하던 한 행안부 직원도 "사퇴한다는 소식을 전혀 몰랐다가 당일 뉴스를 보고서야 알았다"며 곤혹스러워했다.
생각에 잠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
직원 휴게 공간에서 만난 또 다른 행안부 직원들은 "사퇴 발표 당일에 (장관 직무대행인) 고기동 차관이 장관 부재 상태라도 이상 없이 업무를 추진하라는 당부가 있었다"며 "작년에 이미 차관 대행으로 부처가 운영됐던 경험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행안부는 작년 2월 이 전 장관이 10·29 이태원 참사의 책임을 물어 탄핵 소추됐다가 헌법재판소의 기각으로 같은 해 7월 25일 직무에 복귀한 167일 동안 당시 한창섭 차관 대행 체제로 운영된 바 있다.
행안부는 기존에 추진하던 업무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지난달 26∼28일 대설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중앙합동 피해조사에 들어갔고, 경기 지역 추가 조사를 하고 있다"며 "특별재난지역 선포 대상은 이르면 이번 주 내에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도 "10일 열리는 국무회의를 포함해 예정됐된 이 전 장관의 일정을 고 장관대행이 소화할지 여부를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