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023년 11월 7일 대구 달성군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저를 방문, 박 전 대통령과 산책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여당 지지율 하락세가 심상찮다.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보다 추락 정도가 가파르다. 정치권에선 “당 지지율 하락은 2016년처럼 당내 ‘탄핵 찬성론’ 확산과 연동될 것”이란 말이 나왔다.
리얼미터가 9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5~6일 자동응답 방식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일주일 전에 비해 6.1%포인트 내린 26.2%였다. 민주당은 2.4%포인트가 오른 47.6%였다. 3~5일 한국갤럽이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율은 27%로 한 주 전 조사와 비교해 5%포인트 떨어졌고, 민주당은 4%포인트 상승한 37%였다.
두 조사 모두에서 양당 격차는 현 정부 출범 이래 최대치로 벌어졌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비상계엄과 관련해 대국민담화를 열어 사과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론조사업체 에스티아이의 이준호 대표는 “지금은 2016년에 비해 민심 이반 속도가 더 가파르다”며 “여당 텃밭인 대구·경북(TK)에서도 이탈이 본격화하기 시작하면 여당 개별 의원들로선 ‘탄핵 반대’ 단일대오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당장 9일 국민의힘에선 균열이 포착됐다. 5시간 가까이 진행된 비상 의원총회에서 친윤계는 ‘탄핵 반대론’을 주장했지만, 비윤·친한계에선 “(대통령이) 물러난다는 일정을 이번 주 사이에 구체화해야 한다”(김태호), “검찰 특수본부에서 한 달 안에 비상계엄 수사 결론을 내기로 한 만큼, 윤 대통령 퇴진 시점은 한 달보다 더 빨라야 한다”(조경태) 같은 발언이 이어졌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9일 오전 국회 본청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중진 의원 모임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여당에선 설화도 번졌다. 5선 중진인 윤상현 의원이 8일 배승희 변호사의 유튜브 채널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앞장서 반대해 당시엔 욕 많이 먹었지만, 1년 후면 다 찍어주더라”고 발언한 게 발단이 됐다. 윤 의원은 김재섭 의원이 “형 따라서 탄핵 반대했더니 지역구에서 엄청 욕을 먹는다.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물어온 일화를 전하며 “지금 당장 그럴 순 있다. 하지만 내일 모레, 1년 후에 국민은 달라진다. 무소속 가도 다 찍어주더라”고 답한 사실을 공개했다. 2016년 박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했던 윤 의원은 2020년 총선 당시 지역구인 인천 동·미추홀을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자 탈당해 무소속으로 당선됐다.
야당은 이날 윤 의원을 겨냥해 “전두환의 사위였던 윤상현이 ‘전두환의 변종’ 윤석열을 옹위하는 게 당연해 보이긴 해도 자신의 불의한 처세가 뭐 자랑이라고 (김 의원에게) 전수까지 하나” 같은 비난을 쏟아냈다.
논란이 커지자 김 의원은 “제 이름이 언급되고 매우 부적절한 발언이 나간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다”며 “의총장에서 윤 의원에게 악화한 민심을 전달하고 당의 대응을 촉구한 것이 전부”라고 반박했다. 윤 의원은 “일부 표현만 부각한 침소봉대, 왜곡된 해석”이라며 “저의 경험을 소개하며 젊고 유망한 미래 세대인 동료 의원에게 함께 잘 헤쳐 나가자고 격려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칼빵 자랑 소년범과 룸메였다…젠슨 황 단련시킨 ‘지옥의 모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8214
윤지원 기자 yoon.jiwon1@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