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치적 불안정이 지속되고 환율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국내 기업들이 비상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환율변동에 민감한 한국 산업계 특성상 불확실성 요인이 경영 활동에 발목을 붙잡을 것으로 관측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재계와 산업계는 지난 3일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에 이은 탄핵 정국 여파로 인해 입을 경제적 리스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치적 불안정성은 기업들이 확보한 해외 거래선과 투자자들의 신뢰 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서다.
또한 트럼프 2기를 앞두고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대외 환경 변화에 예의주시해야 할 시점에서 정치적 혼란이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따른다. 트럼프 재집권으로 주요 산업의 투자 유치와 관세 완화, 기술 협력 등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시점에서 정치적 혼란이 협상 조건을 불리하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특히 환율 상승세가 이어져 기업들의 불안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지난 11일 달러·원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5.3원오른 1432.2원으로 마감했으며, 환율이 1500원을 넘어설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수출 분야에서는 단기적으로 환율 상승에 따른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나 장기적으로 고환율이 지속되면 원자재 수입 비용이 커져 수익성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고환율에 원가는 오르지만 경기 둔화에 판매가는 올리기 어려워 산업계 전반에 파장이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배터리, 석유화학, 철강 등 주력 산업들은 수출과 환율에 민감한 업종인만큼 기업 활동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해당 기업들은 리튬이나 니켈 등 원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기에 원자재 구입 비용 상승으로 인한 부담을 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발 저가 물량 공세 등 녹록지 않은 경영 환경에서 고환율이라는 또 하나의 골칫거리가 추가된 셈이다.
국내 정유업계도 연간 10억배럴 이상의 원유 전량을 해외에서 달러화로 사들이고 있어 환율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는 업종이다. 반도체와 자동차, 배터리 업계 등은 이미 미국에 수십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 상황인 만큼 비용 부담이 가중될 위험이 크다.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경우 미국 현지 공장 설립으로 외화 부채로 손해를 입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더욱이 외화채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한 국내 기업의 경우 신규발행 시 높은 금리를 부담하거나 상환시 이자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이에 주요 기업들은 부서별로 금융 동향 등을 점검하며 대응책을 마련하는 분위기다. 당장은 고환율에 따른 파급 효과가 크진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한화 가치 하락 기조와 변동 폭 증가가 장기화할 경우 타격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산업계가 시급하게 요구했던 각종 지원 법안을 국회에서 다루어지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업황 불황 속에서 각종 경쟁력 강화 방안이나 지원책 발표가 차일피일 미뤄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재계 관계자는 "내수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최근 정치적 불안이 더해져 내수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할 우려가 크다"라며 "기업들은 환율 경영에 대해서 예의 주시하고 금융 동향을 점검하며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 경제 신뢰도 하락을 막기 위해 산업계와 국회가 협력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