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6 (월)

멀리 전송 어렵던 이음5G…이동 기지국으로 드론 영상분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간·해양 '전파 음영지역' 촬영 실시간 분석해 인명수색

객체 사람인지 판단하는 AI 기술…"상시 활용 주파수 할당 절실"

뉴스1

17일 오후 서울 관악구 소재 목골산 둘레길에서 범죄예방 목적의 경찰의 드론 비행 순찰이 최초 시행되고 있다 2024.6.17/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이음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는 고대역이라 실시간 영상처리 등 대용량 통신에 유리하지만, 주파수 회절성이 낮아 커버리지가 떨어지는 게 문제였다.

이동 기지국을 구축해 한계를 극복하고, 특수 목적 통신 등에 주파수를 활용하는 방안 연구가 속도를 내는 배경이다. 최근 우주항공청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함께 시연한 '이음5G 기반 DNA+드론 플랫폼 기술'이 대표적이다.

16일 ETRI에 따르면 '이음5G 기반 DNA+드론 플랫폼 기술'은 약 20대 드론을 군집 운용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 AI로 분석하는 방식이다.

통상 산악·해양 등 지역은 지상 기지국과 통신이 닿지 않아 드론 데이터를 획득·전달·분석하는 데 긴 시간이 걸린다. 신속한 인명 수색이 어려웠던 이유다.

ETRI는 차량에 이동 기지국을 실어 수색지역 인근서 국지적 통신망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영상 송수신에는 이음5G 대역 중 4.7㎓를 썼는데, 4K 영상 속 객체를 실시간 분석하기엔 무리가 없다는 설명이다.

실종자를 빠르게 특정할 수 있도록 '지상 소형 객체 탐지 분석' 등 AI 기술도 적용했다. 다양한 각도에서 찍힌 영상을 학습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이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구 책임자인 임채덕 ETRI 디지털융합연구소 에어모빌리티연구본부장은 "이 밖에도 드론 표준 데이터, 4D 지상관제 플랫폼 등 지상 관제·분석을 도울 수 있는 기술이 접목됐다"고 설명했다.

드론 표준 데이터는 드론 위치정보, 짐벌(카메라 고정 구조물) 등 자세 정보를 종합해 표준화한 데이터다. 영상물이 어디서 어떻게 찍혔는지 알 수 있어 관제 화면에 맵핑하는 데 도움이 된다.

4D 지상관제 플랫폼은 GPS, 고도 등 3차원 정보뿐 아니라 시간별 드론의 위치 변화를 추가해 분석하는 기술이다. 관제 플랫폼에서 군집 드론의 궤적을 재현할 수 있어 임무 데이터 사후 분석을 돕는다.

임 본부장은 "ETRI 대전 본원과 인근 산간 등에 마네킹을 두고 기술을 실증했는데, 충분한 식별 성능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상용화 준비는 마쳤으나 기술이 폭넓게 확산하려면 이동 기지국 플랫폼을 위한 주파수 할당이 절실하다. 임 본부장에 따르면 현재 이음5G 4.7㎓ 대역은 정부가 허가한 지역 내에서만 쓸 수 있어 다양한 임무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임무 사전에 혼선·간섭 문제가 없는지만 확인되면 해당 주파수를 여러 곳에서 쓸 수 있게 하는 유연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lego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