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경험' 46.9%, '피해 있을 것' 46.6%
연말인데...외식·여행 심리 꽁꽁
"머리 맞대 경기 회복 대책 내놔야"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국 불안이 계속되는 가운데 10일 오후 서울 한 음식점 12월 예약 달력이 비어 있다. 들어온 일부 예약도 취소돼 수정펜 흔적이 남아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일 불법 비상계엄 사태 이후 예약도 문의도 없습니다. 도리어 있던 세 건만 취소됐어요. 한두 달은 버티지만 계속되면 파산될까 걱정입니다
강원 속초시 숙박업소 운영자 A씨
3일 불법 비상계엄 사태, 윤석열 대통령 탄핵 등 국내 정치 상황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연말 특수를 바라보던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절반가량은 매출에 타격을 입었고 앞으로 피해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경우도 46.6%나 됐다. 각계가 총체적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국 불안 충격파 맞은 자영업자들... 50%는 이미 피해
null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소기업중앙회가 소상공인·자영업자 505명(외식업 248명, 숙박업 257명)을 대상으로 10~12일 실시해 16일 발표한 긴급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정치 상황 불확실성으로 직·간접적 피해를 본 적이 있다는 비율은 46.9%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외식업(52.4%)이 숙박업(41.6%)보다 피해 사례가 많았고 매출액이 적을수록 피해 경험 비중이 높았다. 현재까지는 피해가 없지만 앞으로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경우도 46.6%나 됐다.
한창 송년회로 붐빌 시기지만 외식 심리는 꽁꽁 얼어붙고 있다. 주요 정부 부처가 모여 있는 세종시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B씨는 매장과 배달 매출이 모두 눈에 띄게 줄었다. B씨는 "비상계엄 이후로 취소만 세 건에, 8인 예약에도 실제론 2, 3인씩밖에 안 온다"며 "매우 심각하다"고 했다. 그는 이어 "(보통) 공무원 손님이 많은데 (지금은) 공무원 소비 자체가 멈춘 느낌"이라고 털어놓았다. 서울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C씨도 "비상계엄 이후 한 주간은 '망했다' 싶을 정도로 매출이 안 나와 당황스러웠다"고 덧붙였다.
숙박업소도 한산하다. 전북 무주군 스키장 인근에서 12년째 펜션을 운영 중이라는 D씨는 "1년 전에는 12, 1월 객실 전체가 예약 마감 상태였는데 이젠 평일 기준 공실률이 50%"라며 "(불법) 계엄 사태 이후 예약 취소가 40건을 넘겼다"고 했다. 천안 아산시에서 숙박업을 운영하는 E씨도 "인근 공사 현장 인부들이 주로 묵는데 계엄 후 인부들이 심리적 불안감 때문인지 모두 서울이나 고향으로 떠났다"며 "지금은 방 30개 중 10개만 운영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장기화가 예상되는데 대안조차 없는 현실"이라고 걱정했다. 환율 변동성, 국내 정세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외국인 관광객도 눈에 띄게 줄고 있는 추세다.
null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불확실성 1, 2년은 계속될 것"... 대책 마련 주문
정치 상황 불안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9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식당 예약 노트북에 예약취소 내역이 표시되어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욱 심각한 것은 자영업자들이 이미 혹독한 한 해를 보내왔다는 점이다. 2023년 대비 올해 경영사정이 곤란해졌다고 응답한 비율은 83.6%(매우 곤란 44.2%, 다소 곤란 39.4%)나 됐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내수 부진 등 매출액 감소(74.6%) △원재료비 상승(41%) △고금리(34.8%) 등이 꼽혔다. 또 지금과 같은 경제 불확실성이 1, 2년 이어질 거라는 응답이 40.4%에 달하는 등 전망도 어둡다고 봤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연말 특수를 고대하던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기대감까지 무너진 상황"이라며 "국회, 정부, 중소기업계가 머리를 맞대 내수 경기 회복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지혜 기자 5g@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