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7 (화)

"의사가 놓친 종양, AI가 발견하기도…의료현장 '보조' 역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이시은 교수 "의료진 대체는 아직…최종 진단은 의사 몫"

연합뉴스

16일 연합뉴스와 인터뷰하는 용인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이시은 교수
[루닛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유방암 인공지능(AI) 진단 설루션을 활용해 앞서 미처 발견하지 못한 종양을 찾은 적이 있어요. AI가 의료진의 보조로 기능하는 셈입니다."

16일 용인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이시은 교수는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AI가 의료 현장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용인세브란스병원은 의료 AI 기업 루닛[328130]의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설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사용하고 있다.

루닛 인사이트 MMG는 유방 촬영 영상을 분석해 유방암 등 의심 부위를 검출하는 설루션이다. 환자가 유방촬영술을 받으면 유방 사진이 의료진 측에 전달되는데, 루닛 인사이트 MMG는 해당 사진에 종양이나 석회 등 의심 부위를 동그랗게 표시해준다. 유방 치밀도도 분석한다.

이날 기자가 직접 유방촬영술을 받은 뒤 루닛 인사이트 MMG로 분석된 사진을 보자 유방 내 악성 병변 존재 가능성, 유방 치밀도 수준 등이 일반 환자도 알기 쉽게 직관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합뉴스

루닛 인사이트 MMG
[루닛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교수는 사람의 눈이 가지는 한계를 AI로 극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진 판독은 유방 영상의학을 전공한 전문의의 역할"이라면서도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인 만큼 놓치는 부분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대한 우려도 항상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로 사진을 한 번 더 확인하면 판독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의료진이 마음의 안정을 갖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실제 최근 눈으로 발견하지 못한 3㎜ 크기의 유방암을 AI가 찾아낸 적이 있다고 이 교수는 전했다.

유럽 등지에서는 유방 영상 등을 판독할 때 의사 2∼3명이 함께 일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의사 1명이 이를 전담한다. 이런 상황에서 AI는 업무 효율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이 교수는 부연했다.

다만 AI가 영상의학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정상으로 판독될 가능성이 매우 높거나 복잡하지 않은 검사 등은 AI가 맡아 의료진 부담을 덜어줄 수는 있다"면서도 "영상 촬영 뒤 초음파, 자기공명영상검사(MRI) 등 추가 검사를 거쳐 환자를 위한 최종 결정을 내리는 일까지 AI가 전담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교수는 "최근 젊은 층 유방암 발병률이 높아지는 추세"라며 "일각에서는 유방암 검진 등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한국유방암학회는 국내 유방암 진단 환자의 중간 나이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지만 40대 이하 젊은 층 발생률 역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다고 집계한 바 있다.

hanju@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