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설명회서 이례적으로 경제상황 발언 쏟아내
"소비심리 급락…4분기 및 올해 성장률 하락 가능성"
"추경 늦어질수록 경제성장 영향 ↓…소폭 경기부양 필요"
1월 '빅컷' 가능성에는 "데이터 보고 결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창용 총재는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계엄사태 이후 “소비심리와 경제 심리가 급격하게 떨어졌다”면서 “4분기 성장률을 0.5%로 예상했는데 0.4%나 (그보다) 조금 낮아지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어서 2.2%로 예상했던 올해 성장률도 2.1%가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지난달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은 2.4%에서 2.2%로, 내년은 2.1%에서 1.9%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잠재성장률(2% 수준)을 밑도는 수준인 내년 성장률도 더 낮아질 수 있는 상황이다. 한은에 따르면 최근 국회에서 야당 주도로 통과된 ‘감액 예산안’은 정부·민간 소비를 감소시켜 내년도 성장률에 0.06%포인트 마이너스 효과를 낸다.
내수 부양 등을 위한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으나, 내년 1월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을 염두에 둘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데이터를 봐야 한다. 지금까지 나온 데이터로 봐서는 그 정도까지는 아닌 것 같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