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돌파하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20일 서울 명동 환전소에 환율이 표시돼 있다. 2024.12.20. /사진=전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고환율 흐름에서 물가상승에 대한 경계감이 짙어졌다. 국내 공급물가 오름세가 반년여 만에 가장 커졌고 이는 연이어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릴 전망이다.
탄핵정국 여파로 경기하방 압력마저 커지면서 기준금리 인하·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 필요성도이부상했다. 물가안정 흐름이 지속된다면 가용한 카드이지만 앞으로 환율 변동에 따라 발목이 잡힐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20일 한국은행의 생산자물가지수(잠정) 통계에 따르면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11월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6% 상승했다. 지난 4월(1.0%)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이달 들어 환율 오름세가 더욱 가팔라진 점을 고려하면 수입물가를 더욱 자극할 공산이 크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탄핵정국 속에서 외환시장 변동성은 크게 확대됐다.
게다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매파적 발언이 환율 오름폭을 더욱 키웠다. 일각에선 환율 상단을 1500원 선까지 열어놔야 한다는 전망도 있다.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주유소 기름값이 9주 연속 상승중인 15일 서울 시내 주유소에 기름값이 표시돼 있다. 2024.12.15. /사진=전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여파로 전년동월 대비 1%대 안정세(11월 1.5%)를 보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가까이 반등할 수 있단 분석도 나온다.
이날 기준 휘발유 평균 가격은 1657.5원, 경유 가격은 1502.2원이다. 9주 연속 상승했던 12월 둘째 주(12월 8일~12일) 휘발유 1646.2원, 경유 1489.2원에서 오름폭을 더욱 키운 것이다.
환율 급등은 통화정책에도 변수다. 내수 부진 등 경기하방 압력으로 금리인하 필요성에 힘을 실리지만 최근 상황에서 섣불리 내렸다간 환율은 물론 물가 오름세까지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인하 속도를 조절하는 상황에서 한-미 금리 격차(1.5%p)만 키우게 되기 때문이다. 대체로 금리인하를 비롯한 유동성 대책은 물가안정을 제한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경제 하방 압력이 있는 상태라 추경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장기 재정건전성에 영향을 줘선 안 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타겟팅해서 소폭의 재정정책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