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는 광역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지난해 출생아수가 늘었습니다. 올해도 출산 증가세를 이어가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펼쳤다고 하는데, 김달호 기자가 김영환 충북지사를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Q. 지난해 충북은 전국 광역 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출생아 수 증가율이 올랐습니다. 올해도 출산 증가세를 이어가기 위해 충북만의 혁신적인 정책들을 선보이고 있다고요.
A. 우선은 이제 출산 장려금을 대폭 주는 정책을 썼고요. 그래서 이제 아이를 낳으면 천만 원 정도 주는 그런 정책이 있었고 그 외에 그 출산 장려에 관한 많은 정책들이 굉장히 다양하게 준비되고 촘촘하게 마련돼서 뭐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의 정책이 나왔는데 이를테면 이제 결혼을 장려하는 정책, 또 이 출산을 했을 경우에 지원하는 정책, 그다음에 육아 돌봄 그다음에 그 다둥이들에 대한 정책 그걸 포함해서 종합적인 정책이 마련되기 때문에 하나하나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마는 아이를 낳는 것이 국가유공자다. 그리고 아이를 낳아주면 우리 도가 길러준다. 그리고 나라가 길러준다. 그리고 거기에 맞는 정책을 우리가 예산이 허락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도 지급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Q. 국내 최초로 ‘의료비 후불제’를 도입하여 충청북도의 의료복지 수준을 개선했다는 평이 있습니다.
A. 이 정책은 틀림 없이 성공을 했고 이를테면 연체율이라고 할까 돈을 받아서 이자를 내지 않고 분납하는 방식인데 이것에 참여했던 분들이 거의 연체율이 거의 없는 정도이기 때문에 예산을 쓰지 않고 이자만 주는 정책을 통해서 병원에 가거나 수술을 받거나 또 입원을 하거나 이럴 때의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사인만 하면 입원할 수 있고 사인만 하면 퇴원할 수 있고 또 그 수술을 받을 수 있는데 진료를 받고 난 뒤에 한 달에 10만 원씩 나누어서 분납 할부 후불 하는 제도인데 이 제도는 굉장히 호응도 좋을 뿐만 아니라 손실이 없고 국가 예산 하나도 들이지 않고 하는 방식이니까 결제 방식만 바꿔서 먼저 진료를 하고 돈은 나중에 내는 방식 돈을 먼저 내고 진료를 하는 방식을 바꿔준 거죠. 그 순서만 바꿈으로써 이렇게 엄청난 효과를 거둘 수 있고 복지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는 이것 선행적 복지 형태로 또 돈을 쓰지 않고서도 의료보험 의료 혜택을 줄 수 있는 제도이기 때문에 굉장히 값진 거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Q. 충북형 일자리 사업인 ‘도시농부’, ‘도시근로자’가 도시 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Q. 평범한 도민들의 이야기를 영상기록물로 남기는 ‘디지털 영상자서전’ 사업도 있는데,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A. 이것도 이제 처음에는 사람들이 잘 찍으려고 하지 않고 그래서 참 강권하고 이런 분위기였는데 지금 영상으로 영상 자서전에 충분히 영상 자서전을 하면 만 3천 건이 1만 4천 건인데 만 5천 건 될 것이고 만 5천 명이 찍은 거죠. 자기 삶의 이야기 인간 극장, 휴먼 드라마 이거를 이제 찍어놓은 거죠. 그러나 이것은 이제 앞으로 3만 명 5만 명 10만 명 찍게 될 것이고 도민들을 다 그런 영상 자서전으로 이야기로 우리가 채록해 놓는 것인데 아 지금 이야기 콘텐츠로는 세계에서 아마 최초가 아닐까 한 10만 명쯤 되면 이제 유네스코 영상 기록문화유산으로 한번 신청해 볼 생각이 있습니다. 이것이 앞으로 중요한 사료가 될 것이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콘텐츠가 될 것이기 때문에 충청북도에서 시작됐지만 아마 전국이 이런 것으로 가게 될 것이다. 이것이 장묘 문화를 바꾸게 될 것이고 그리고 우리의 그 콘텐츠 강국으로 대한민국의 케이 컬처를 끌어올리는 데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네 오늘 말씀 감사드립니다.
김달호 기자(daro@chosun.com)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Q. 지난해 충북은 전국 광역 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출생아 수 증가율이 올랐습니다. 올해도 출산 증가세를 이어가기 위해 충북만의 혁신적인 정책들을 선보이고 있다고요.
A. 우선은 이제 출산 장려금을 대폭 주는 정책을 썼고요. 그래서 이제 아이를 낳으면 천만 원 정도 주는 그런 정책이 있었고 그 외에 그 출산 장려에 관한 많은 정책들이 굉장히 다양하게 준비되고 촘촘하게 마련돼서 뭐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의 정책이 나왔는데 이를테면 이제 결혼을 장려하는 정책, 또 이 출산을 했을 경우에 지원하는 정책, 그다음에 육아 돌봄 그다음에 그 다둥이들에 대한 정책 그걸 포함해서 종합적인 정책이 마련되기 때문에 하나하나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마는 아이를 낳는 것이 국가유공자다. 그리고 아이를 낳아주면 우리 도가 길러준다. 그리고 나라가 길러준다. 그리고 거기에 맞는 정책을 우리가 예산이 허락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도 지급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Q. 국내 최초로 ‘의료비 후불제’를 도입하여 충청북도의 의료복지 수준을 개선했다는 평이 있습니다.
A. 이 정책은 틀림 없이 성공을 했고 이를테면 연체율이라고 할까 돈을 받아서 이자를 내지 않고 분납하는 방식인데 이것에 참여했던 분들이 거의 연체율이 거의 없는 정도이기 때문에 예산을 쓰지 않고 이자만 주는 정책을 통해서 병원에 가거나 수술을 받거나 또 입원을 하거나 이럴 때의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사인만 하면 입원할 수 있고 사인만 하면 퇴원할 수 있고 또 그 수술을 받을 수 있는데 진료를 받고 난 뒤에 한 달에 10만 원씩 나누어서 분납 할부 후불 하는 제도인데 이 제도는 굉장히 호응도 좋을 뿐만 아니라 손실이 없고 국가 예산 하나도 들이지 않고 하는 방식이니까 결제 방식만 바꿔서 먼저 진료를 하고 돈은 나중에 내는 방식 돈을 먼저 내고 진료를 하는 방식을 바꿔준 거죠. 그 순서만 바꿈으로써 이렇게 엄청난 효과를 거둘 수 있고 복지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는 이것 선행적 복지 형태로 또 돈을 쓰지 않고서도 의료보험 의료 혜택을 줄 수 있는 제도이기 때문에 굉장히 값진 거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Q. 충북형 일자리 사업인 ‘도시농부’, ‘도시근로자’가 도시 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A. 도시에는 인력이 그래도 좀 남고요. 농촌의 인력이 부족하지 않습니까? 그 도시에 있는 인력들은 대개 시니어 인력들 60세에 은퇴해서 75세 80세까지 일할 수 있으니까 그 인력들이 충분히 있고 일자리를 필요로 하고 그다음에 주부들이 지금 아직도 8시간 근무하거나 직장에 나가는 건 어렵지만 4시간 정도는 일할 수 있는 분들 그 짜투리 인력들이 많기 때문에 그런 젊은 주부들의 인력 그리고 시니어 인력을 농촌에 투입하는 그런 방식인데 4시간 하는 데 아주 강점이 있고요. 그래서 그것이 큰 호응을 얻어서 지금은 이제 만 2만 명을 돌파를 했고 등록된 게 2만 명을 돌파했고 곧 3만 명이 될 것이고 연인원으로는 약 25만 명 이렇게 이것이 공장으로 가는 사람을 도시 근로자라고 하는데 도시 근로자가 12~13만 명 돼서 거의 35만에서 40만 명이 투입되고 있고 이제는 자영업에도 이걸 투입하기 때문에 많은 일자리를 4시간으로 나누어서 일할 수 있는 인력들을 공급함으로써 잘게 나눠서 쓸 수 있는 그런 제도를 만듦으로써 획기적인 그런 반향을 보이고 있고 또 계속 지금 도시 농부 근로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습니다.
Q. 평범한 도민들의 이야기를 영상기록물로 남기는 ‘디지털 영상자서전’ 사업도 있는데,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A. 이것도 이제 처음에는 사람들이 잘 찍으려고 하지 않고 그래서 참 강권하고 이런 분위기였는데 지금 영상으로 영상 자서전에 충분히 영상 자서전을 하면 만 3천 건이 1만 4천 건인데 만 5천 건 될 것이고 만 5천 명이 찍은 거죠. 자기 삶의 이야기 인간 극장, 휴먼 드라마 이거를 이제 찍어놓은 거죠. 그러나 이것은 이제 앞으로 3만 명 5만 명 10만 명 찍게 될 것이고 도민들을 다 그런 영상 자서전으로 이야기로 우리가 채록해 놓는 것인데 아 지금 이야기 콘텐츠로는 세계에서 아마 최초가 아닐까 한 10만 명쯤 되면 이제 유네스코 영상 기록문화유산으로 한번 신청해 볼 생각이 있습니다. 이것이 앞으로 중요한 사료가 될 것이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콘텐츠가 될 것이기 때문에 충청북도에서 시작됐지만 아마 전국이 이런 것으로 가게 될 것이다. 이것이 장묘 문화를 바꾸게 될 것이고 그리고 우리의 그 콘텐츠 강국으로 대한민국의 케이 컬처를 끌어올리는 데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네 오늘 말씀 감사드립니다.
김달호 기자(daro@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