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실징후기업은 전년 동기 대비 1곳 감소했지만, 부실징후를 보이는 대기업은 11곳으로 지난해보다 2곳 늘었다. 전체 개수가 줄어든 것은 중소기업이 3곳 줄어 219곳으로 집계된 영향이다. 채권은행은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시행할 때 금융권 신용공여가 500억원 이상이면 대기업으로, 500억원 미만이면 중소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등급별로 보면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C등급 기업이 지난해보다 18곳 줄어들어 100곳으로 집계됐다. 이와 반대로 정상화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고 분류되는 D등급 기업은 17곳이나 늘었다. 올해 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 수는 130곳이다.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업이 30곳으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21곳), 고무·플라스틱(18곳), 기계·장비(18곳), 도매·중개(14곳) 순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부동산업이 8곳 늘었고 자동차업과 전문직별 공사업도 각각 4곳씩 증가했다.
금감원은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업황부진, 원가상승,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일부 한계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했다고 짚었다. 다만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은행권 신용공여 규모가 올해 3분기 말 기준 1조9000억원(전체 은행권 신용공여의 0.07%)에 그쳐 은행권 건전성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 유도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하겠다"며 "부실징후기업은 아니지만 일시적 금융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금융지원은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