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 주최로 열린 ‘2024 과학영재교육 페스티벌’에서 사회자가 행사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과학창의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과학고와 영재학교도 대학 입시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학생들이 내신 위주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구활동에서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평가 방식을 바꿔야 합니다.”
김미란 충남과학고 교사는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개최한 ‘2024년 과학영재교육 페스티벌 : 영재정책 토론회’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그는 충남과학고에서 ‘과학영재창의연구(R&E·Research and Education)’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R&E는 과학고·영재학교 재학생이 과학 연구를 직접 설계하고 논문을 작성해 과학인재로 성장할 수 있게 돕는 프로그램이다. 김 교사는 “내신 중심 대입 선발로 많은 학생이 R&E 등 연구활동 참여가 저조하다”며 “(대입을 고려해) 학점을 잘 주는 과목으로 수강생이 몰리고, 성적 평가에 반영되지 않는 연구는 등한시 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과학영재교육 페스티벌’은 과기정통부와 과학창의재단이 2021년부터 매년 국내 과학영재 교육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열어 온 행사다. 올해는 교육 성과를 분석하고 보완점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김 교사는 “현행 입시 제도가 과학영재 교육을 위한 수업과 평가를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R&E 등 활동 성과를 학교생활기록부(생기부)에 기입하기 힘들어서다. 논문 연구나 국제올림피아드 출전 등 각종 대외 활동은 생기부에 쓸 수 없어 입시에 활용하기 어렵다. 호응도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지원자 수는 2508명으로 2014년 3982명에서 37% 급감했다.
R&E 사업 예산도 줄고 있다. 과학창의재단에 따르면, 올해 R&E 예산은 17억6300만원으로 지난해(18억1000만원)와 2022년(17억8300만원)보다 감소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손정우 경상국립대 물리교육과 교수는 “최근 과학고와 영재학교 10군데를 다녀봤더니, 장비가 낡은 데다 유지·보수도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내 과학인재를 육성하는 교육 방식을 확대하고, 체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손 교수는 “학생들에게 많은 경험의 기회를 주기 위해 생애주기에 맞게 장기적인 지원 프로젝트가 필요하다”며 “과학고와 영재학교는 단순히 과목을 수강하는 게 아닌, 프로젝트 기반 학습 비중을 늘려야 역량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사도 “과학고·영재학교 출신 학생의 진로와 성장에 대한 체계적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며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진로·진학 지도에 활용한다면 학생의 동기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상언 기자 youn.sangu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