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6 (목)

이슈 불붙는 OTT 시장

축제 분위기 넷플릭스, 진퇴양난 토종OTT[현장에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시즌2’ 공개앞두고 대규모 마케팅

토종OTT, 자금난과 콘텐츠 부족에 진퇴양난

넷플릭스와 SBS 협약, 티빙 합병에도 영향

메가OTT 합병 서둘러야

[이데일리 윤정훈 기자] 계엄령으로 차분해진 연말 도심에 핫핑크 물결이 일고 있다. 붉은색의 산타클로스를 얘기하는 게 아니다. 핑크색 복장에 검정 가면을 입은 가드를 떠올리게 하는 오징어게임 이야기다.

넷플릭스는 오는 26일 오징어게임 시즌2 공개에 맞춰 국내에서 대대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전작이 공개 28일 만에 누적시청시간 16억 5000만 시간이라는 글로벌 흥행 역사를 갈아치운 만큼, 시즌2는 회사 차원에서 대규모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데일리

19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 르웨스트에서 열린 미식 축제 ‘컬리푸드페스타 2024’를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지난 23일 서울 파르나스호텔에서 열린 넷플릭스 미디어 송년회 ‘넷플릭스 인사이트’에서도 이어졌다. 행사장은 올해도 흑백요리사를 필두로 다양한 K콘텐츠를 성공시킨 넷플릭스의 자신감으로 가득 차 있었다. 럭키드로우 행사와 오찬까지 참석자들은 ‘넷플릭스 어워즈’에 온듯 기분 좋은 환대를 받으며 행사를 즐겼다.

연사로 나선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 소장은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 안착하면서 정체된 북미 미디어 산업에 신선함을 더해줄 것”이라고 넷플릭스와 K콘텐츠의 ‘윈-윈(win-win)’을 전망했다.

축제 분위기 넷플릭스와 달리 토종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는 조촐한 결산 자리조차 만들지 못했다. 웨이브는 내년도 콘텐츠 로드맵조차 제대로 세우지 못한 상태다.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자금 사정이 녹록치 않아서다. CJ(001040)ENM이 운영하는 티빙도 상황은 매한가지다. 양 사는 기존에 성공했던 시리즈물의 차기 시즌을 준비하는 것외에 별다른 기대작이 없다.

양 사의 유일한 기댈 곳은 합병이다. 양 사의 대주주인 SK스퀘어(402340)와 CJENM은 지난달 2500억원을 자금을 웨이브에 투입하며 단계적 합병을 위한 포문을 열었다. 내년 가을까지 완전한 통합을 통해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부활을 노린다는 목표도 발표했다.

정부도 지난 19일 1조원 규모로 조성한 ‘K콘텐츠·미디어 전략 펀드’를 활용해 대형 콘텐츠 제작과 국내 OTT·FAST(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기업의 기술 투자를 위한 자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사진=그록2)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 발표 다음날 넷플릭스는 SBS와 전략적 협약 사실을 발표했다. SBS는 웨이브 지분 19.8%를 보유한 주요 주주다. SBS가 독자행보에 나섰다는 건 사실상 탈(脫) 웨이브‘를 선포한 셈이다.

국내산 메가OTT를 꿈꾸던 티빙으로서는 진퇴양난이다. 이대로 가다간 국내 콘텐츠공급자(CP)가 글로벌 OTT의 하청 업체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국내 OTT의 생존 전략은 더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웨이브·티빙 합병을 반대하는 일부 주주도 힘을 모아야 할 때다. 2025년은 토종OTT 생존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오징어게임 시즌2는 전작을 뛰어넘는다고 기대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미 내년 1월 열리는 미국 골든글로브 시상식의 최우수 TV 시리즈 드라마 부문 작품상 후보로 지명됐을 정도다. K-콘텐츠의 글로벌 성공이 계속 이어지길 응원한다. 또한 ’제2의 오징어게임‘을 토종OTT에서도 만나볼 날을 기대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