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항고·집행정지 요청… 상세 타임라인 공개
"현장 안내로 이해했을 뿐 체포 내용 못 들어"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3일 밤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경찰병력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3 불법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우종수 국수본부장)이 '경찰 체포조 연루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며 상세 타임라인까지 공개했다.
국수본은 26일 '계엄 당일 국수본 지시로 서울 영등포경찰서 경찰 50명이 의원 체포조로 국회 앞에 파견됐다는 진술을 검찰이 확보했다'는 보도에 유감을 나타냈다. 이례적으로 계엄 당일 국수본 관계자들의 타임라인까지 1분 단위로 상세히 공개하며 "방첩사령부로부터 위치추적 명단, 체포 명단 등을 전달받은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12·3 불법계엄 당일 경찰 타임라인. 송정근 기자 |
국수본에 따르면 방첩사로부터 첫 연락이 온 시점은 3일 밤 11시 32분이다. 구인회 방첩사 수사조정과장은 이현일 국수본 수사기획계장에게 연락해 "계엄으로 합동수사본부 구성 시 수사관 100명, 차량 20대 파견 요청할 테니 미리 준비해 달라"고 했다. 국수본 수사기획국은 계엄법과 시행령 등을 확인해 이런 내용이 '의무 협조사항'임을 확인했다고 한다. 국수본은 이후 서울경찰청에 연락해 명단 준비를 요청했다.
20분 뒤인 밤 11시 52분, 방첩사는 다시 국수본에 연락해 "여의도에 체포조 인력이 출동할 예정인데 현장 상황이 혼란하니 안내 인력이 필요하다. 현장 경찰 5명 인력을 제공해 달라"고 했다. 당시 '체포'라는 단어를 들은 건 국수본 측도 인정한다. 그러나 이는 방첩사 체포조가 오니 현장을 안내해 달라는 취지로 이해했을 뿐 정치인 체포 활동에 동원된 게 아니라는 입장이다.
당시 방첩사 측과 통화하던 경찰 간부가 "누구를 체포하려고 하냐"고 묻자, 방첩사 측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라고 답했다는 언론 보도도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다. 국수본 측은 체포조와 관련해 방첩사가 추가로 물어본 적도 없고 특정 정치인 이름을 들은 적도 없다고 했다. 이후 5명이 더 필요하다는 연락이 방첩사로부터 한 차례 더 와서 총 10명이 갔다고 한다. 국수본 관계자는 "배치한 경찰 10명도 수갑 등 체포 장비를 전혀 구비하지 않고 안내 목적으로 간 거라서 휴대폰 무전기만 들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국수본 실무진은 이런 상황을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대면 보고했고 제주도 출장 중이던 우 본부장은 4일 0시 38분에서야 합수부 수사관 대기와 인력 파견 사실을 보고받았다.
또 당시 국회 수소차 충전소 앞에 영등포경찰서 형사 60여 명이 모여 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국회 담장이 무너질 것 같다는 영등포서 경비과장의 무전을 듣고 달려간 것이며 방첩사 요청과는 무관하다고 했다. 방첩사가 요청한 파견 인력 10명도 60명의 일부를 추려서 보냈다고 한다.
검찰은 그러나 경찰이 방첩사 요청에 따라 주요 정치인을 체포하기 위해 강력계 형사들을 지원한 것은 아닌지 계속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지난 19일 우 본부장과 간부들의 휴대폰을 압수수색했다. 우 본부장 등은 이에 부당한 압수수색이라며 압수수색 영장을 취소해달라는 준항고를 법원에 청구하고 집행정지도 신청했다. 준항고는 수사기관 처분을 받은 이가 법원에 불복을 구하는 제도다. 국수본 관계자는 "참고인 신분인데 피의자에 가까운 형식으로 압수수색이 이뤄지는 등 위법한 점이 많았다"고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조소진 기자 sojin@hankookilbo.com
김나연 기자 is2ny@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