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충돌 증가세…청둥오리 1마리 부딪치면 순간 충격 약 5t
텃새화·출몰 시기 변화로 늘어…퇴치기·조직 있지만 역부족
무안공항 항공기 사고 현장 |
(서울=연합뉴스) 장보인 기자 = 29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항공기 사고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추정되는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는 이·착륙 혹은 순항 중 새가 동체나 엔진 등에 부딪히는 현상이다.
시속 370㎞로 상승하는 항공기에 900g의 청둥오리 한 마리가 충돌할 때 항공기가 받는 순간 충격은 4.8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가 항공기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는 경우 화재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공항의 입지 특성상 들판이 많고, 특히 우리나라는 강가나 해변에 자리 잡은 곳도 많아 새들과 충돌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평가다.
무안국제공항의 경우, 비행기 총 운항 횟수와 비교한 조류 충돌 발생률이 전국 14개 지방공항 가운데 가장 높은 상황이다.
한국공항공사가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무안공항의 조류 충돌 건수는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10건이었다. 이 기간 무안공항을 오간 항공기가 1만1천4편인 점을 고려하면 발생률은 0.09%로 추산된다.
이는 김포(0.018%), 제주(0.013%) 등 타 주요 공항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다만, 절대적인 충돌 건수가 극히 적어 유의미한 통계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측면도 있다.
전체 공항의 조류 충돌 건수는 2019년 108건, 2020년 76건, 2021년 109건, 2022년 131건, 작년 152건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기후 변화로 철새가 텃새가 되거나, 출몰 시기와 출몰 조류종이 변화한 탓으로 풀이된다.
올해 1월에도 청주공항과 인천공항에서 항공기 이착륙 중 조류 충돌이 발생했다. 인천에서는 2월 6일 막 이륙해 17피트(약 5.2m) 떠오른 항공기 엔진과 착륙기어에 새가 날아들면서, 6월 24일에는 이륙을 위해 활주로를 달리던 항공기 전면에 새가 부딪히면서 회항하는 일이 벌어졌다.
공항들은 조류 충돌에 다양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
전문용역업체와 계약을 맺어 전담 인원을 투입하거나 조류 서식 환경을 관리하는 한편 총포·폭음경보기, 음파퇴치기 등을 활용하고 있지만 사고를 100% 막기는 역부족이다.
최근에는 레이더 탐지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빅데이터를 통해 조류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 방안도 연구하고 있다.
공군의 경우 전국 기지별로 운항관제반에 조류 퇴치팀인 일명 '배트'(BAT:Bird Alert Team)를 운용 중이다.
boi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